광주시가 군공항을 민간공항과 분리해 이전키로 하고 후보지를 물색하는 가운데 전남지역 4개 지방자치단체 10곳 이상이 후보지로 검토되고 있다.
생산유발·부가가치 유발 효과가 10조원대에 이를 것으로 분석된 군공항 이전 후보지를 놓고 전남지역 지자체의 뜨거운 유치 경쟁이 주목된다.
하지만 정작 전남도는 광주 군공항의 전남지역 이전을 광주시와 논의한 적이 없다며 떨떠름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9일 광주시 등에 따르면 시는 지난 1일 광산구 송정리 민간항공과 군공항 통합이전 방침을 사실상 접고 군공항을 분리 이전키로 하고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후보지를 찾고 있다고 밝혔다.
광주시군공항이전사업단은 최근 용역과정에서 전남지역 4개 자치단체 10곳 이상을 유력 후보지로 검토했다.
이들 지역은 국제민간항공기구(ICAO)와 ‘군 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명시된 선정요건을 충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후보지 선정의 최대 관건인 선정기준은 충돌 방지를 위한 공역(空域·하늘길), 활주로와 직각으로 부는 횡풍(橫風)과 안개일수 등 기상, 장애물, 활주로 주변 소음(75웨클 이상) 피해 가구수, 이전 전과 같은 수준의 이상의 전방위 항공작전 운영 가능여부, 바람, 안개, 강우 등 계절별 기상조건이 군사작전에 적합할 것 등이다.
사업단 관계자는 “현재 전남지역 4개 자치단체와 10곳 이상의 후보지가 유력하게 검토됐지만 지자체와 후보지는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사업단은 유력 후보지역을 중심으로 오는 3월부터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다.
5조7480억원에 달하는 군 공항 이전 사업비가 풀릴 경우 경제적 효과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전체 사업비 가운데 4조1000억원은 군 공항 이전 비용, 8400억원은 공항이전으로 비게 되는 송정리 주변 신도시 개발, 나머지 3500여 억원은 금융비용 등에 쓰인다.
생산유발·부가가치 유발 효과만 10조원대, 고용창출 효과도 5만7408명에 이를 것이라는 용역결과도 나왔다.
특히 후보지로 선정된 지역에 4500억원 규모의 이전지 주변 개발비용이 투입돼 지자체의 귀를 솔깃하게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따라 공항 유치 경쟁 뜨겁게 달아오를지 관심이다.
최근 대구 군공항과 민간공항 통합이전 후보지를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대구·경북 사례를 볼때 전남도 비슷한 양상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13조원대 경제효과가 날 것으로 분석된 대구공항 유치전은 경북 군위군과 의성군을 비롯해 성주군, 고령군, 대구 달성군으로 압축됐으나 일부 지역은 주민의 거센 반대에 부딪혀 다시 2파전 양상으로 전개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남도는 아직 광주시와 전남지역으로 광주 군공항 이전을 논의한 적이 없다며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광주 군공항 이전사업은 현 부지 831만㎡를 1530만㎡의 대체 용지로 이전하는 사업으로, 2013년 4월 제정된 특별법에 근거한다. 광주 군공항은 1964년에 건설됐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