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00인 이상 기업 3곳 중 1곳 꼴로 임금을 동결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동결 기업 가운데 절반 이상은 동결로 마련한 재원을 신규 인력 채용 등에 투자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11~12월 임금 협상이 완료된 300인 이상 사업장 1599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543곳이 임금을 동결했다고 8일 밝혔다. 조사 대상의 34.0% 수준이다.
임금 동결 기업의 55.4%인 301곳은 동결로 마련된 비용을 근로자 격차 해소에 사용했다. 신규 채용(40.9%)이 가장 많았다. 이어 비정규직 근로자 처우개선(16.0%), 협력업체 근로자 복지·처우개선(7.6%) 등이었다. 나머지 242개 기업은 경영 재원으로 활용했다.
노동조합이 있는 기업일수록 임금 동결과 격차 해소에 더 적극적이었다. 설문 응답 기업 중 노조를 보유한 기업은 713곳이었다. 이 가운데 20.9%인 149곳은 임금을 동결하고 격차 해소에 재원을 썼다. 노조가 없는 기업의 참여 비율은 17.2%였다. 정지원 고용부 노사협력정책관은 “지난해 경제 여건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도 격차 해소에 나선 기업이 많았다”며 “이에 대한 정부 지원도 보다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종=신준섭 기자
3개 기업 중 1곳 지난해 채용 위해 임금 동결?
입력 2017-02-08 1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