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대선주자 원전 반대 한목소리… 이재명 “월성 1호기 연장 취소 환영”

입력 2017-02-08 11:09
이재명 성남시장(좌),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중), 안철수 국민의당 전 대표(우). 사진=뉴시스

야권 대선주자들이 원자력발전소 반대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재명 성남시장도 ‘원전 제로시대’를 주장하며 대체에너지 산업육성을 공약했다.

 이 시장은 8일 페이스북에 “월성원전 1호기 수명 연장을 취소하라는 서울행정법원 판결을 환영한다”고 적었다.

 서울행정법원 행정11부(부장판사 호제훈)는 지난 7일 월성 1호기 인근 주민 등 시민 2167명이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를 상대로 낸 ‘월성 1호기 수명연장 허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수명연장 처분을 취소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

 이에 대해 이 시장은 “한수원(한국수력원자력)은 법원 판결을 존중해 즉각 가동을 중단해야 한다”며 “이번 판결이 원전 없는 안전한 나라, 새로운 신재생에너지 개발로 국가 에너지 정책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이어 “모든 기계는 고장나기 위해 태어난다는 말이 있듯 이 세상에 안전한 원전이란 없다. 수명이 다 된 원전은 폐로하고, 신규 원전 건설은 백지화하고, 가동중인 원전도 단계적으로 폐쇄, 원전제로시대를 열겠다”고 주장했다.

 또 “국제원자력기구가 예상하는 2030년 500조원 규모의 폐로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폐로산업을 육성하고, 태양광 풍력 지열 등 대체에너지 산업육성에 대한 투자를 획기적으로 늘리겠다”며 원전을 대신할 대체에너지 산업육성을 공약했다.

 야권의 다른 대선주자들도 원전에 반대 입장을 갖고 있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대선부터 ‘탈(脫)원전사회’를 고수하고 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대표는 ‘신규원전반대와 기존원전 존속여부 재결정’을 주장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 17일 대담 에세이집 ‘대한민국이 묻는다’를 통해 “원전의 추가 건설을 중지하고, 설계수명이 완료된 원전부터 차례로 문을 닫아가야 한다”며 “그러면 국내 원전이 끝나는 시점이 2060년 정도 되는데, 40여 년 기간 안에 다른 대체에너지 개발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안 전 대표는 지난 7일 새울원전본부를 방문해 “신고리원전 7·8호기의 추가 건설을 반대하며, 건설 중인 5·6호기도 차기 정부에서 존속 여부를 다시 결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