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측 관계자는 8일 “협상 마무리 단계에서 특검이 이를 누설하는 바람에 신뢰가 깨졌다”며 “대면조사 여부를 전면 재검토하는 방향까지 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비공개 원칙을 지키기로 해놓고 미리 흘리는 의도가 뭔지 모르겠다”며 “계속 이런 식으로 하면 더 이상 특검팀과 협의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 측 유영하 변호사가 전날 밤 이런 의견을 특검에 전달했다고 한다. 박 대통령 측과 특검은 9일 청와대 경내에서 조사하는 데 의견을 모으고 구체적인 방법 등을 조율하던 상황이었다.
청와대도 “특검이 어떻게 나오는지에 달린 문제”라며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청와대는 지난 3일 특검이 청와대 경내 압수수색을 시도했을 때도 “대통령을 피의자로 적시한 영장으로 무리한 수사를 하고 있다”고 강하게 반발했었다.
이에 따라 박 대통령 대면조사 일정은 불투명해졌다. 박 대통령 측에선 전면 재검토 주장까지 나오고 있지만 조사 자체를 거부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아직은 우세하다. 박 대통령은 신년 기자간담회 등을 통해 특검 조사에 응하겠다는 뜻을 여러 번 밝혔다. 박 대통령 측의 강한 반발은 특검 압박용이란 분석이 많다. 일각에선 특검의 ‘언론플레이’를 빌미로 시간 끌기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