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불황이 장기화되고 있지만 가정간편식 시장은 호황을 누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맞벌이 가구가 증가한 영향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5일 발표한 가공식품 시장분석 보고서를 보면 한국의 가정간편식 시장 규모는 2015년 기준 1조6720억원이다. 2011년 1조1067억원에서 5년 사이 51.1%가 성장했다.
품목별 비중을 보면 즉석섭취식품이 59.3%로 전체 간편식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즉석조리식품(34.9%), 신선 편의식품(5.7%)이 뒤를 이었다.
즉석섭취식품 중에서도 편의점 도시락 시장 규모는 2015년 1329억 원으로, 간편·가성비를 중요하게 따지는 트렌드에 힘입어 최근 3년간 70.4%가 커졌다. 즉석조리식품의 경우 5년 사이 시장 규모가 53.2% 정도 확대됐고, 카레·짜장 등 전통적인 품목에서 각종 탕·국·찌개류로 메뉴가 다양화됐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선 편의식품 시장도 확대됐다. 최근 견과류나 치즈, 닭가슴살 등 구성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출하규모가 2015년 기준 959억 원으로 5년 동안 59.1% 증가했다.
세종=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