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협착증이란, 척추에는 척추뼈 뒷부분으로 지나는 척추신경의 통로인 척추관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러한 척추관이 나이가 들면서 퇴화되거나 올바르지 못한 생활 습관 등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점차 좁아져 신경을 누르고, 염증이 발생해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을 말한다.
60대 이상의 환자 10명 중 8명꼴로 발생하는 척추 협착증의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허리 통증과 함께 다리가 저리고 쑤시는 증상이다. 그리고 심한 경우에는 보행장애, 마비, 경련과 같은 증상까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척추 협착증은 증상의 경중에 따라 단계별로 달라지지만, 초기에는 대부분 약물치료와 물리치료 등의 비교적 간단한 치료법을 통해서도 해결이 가능하다. 하지만 이러한 치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고 신경마비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통해 신경을 누르고 있는 디스크와 뼈를 제거하고, 척추뼈를 고정시키는 척추 유합술이 필요할 수 있다.
서울 금천구에 위치한 서울바른세상병원 강지훈 원장은 “척추 협착증의 대표적인 수술 방법 중 하나인 척추 유합술은 불안정한 척추뼈에 나사를 삽입하여 연결하고, 골이식을 하여 고정시키는 방법”이라며 “기존의 수술 방법은 절개 부위가 크기 때문에 근육 손상이 많고, 출혈이 많으며, 수술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었으나 본원에서는 이러한 유합 수술의 단점을 개선한 최소침습 척추 유합술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강 원장은 “최소침습 척추 유합술은 X-ray 투시기를 이용하여 금속 나사를 삽입하기 때문에 피부 절개는 1cm 정도 밖에 필요하지 않아 근육 손상이 적고, 수술 후 허리 통증이 발생할 위험성이 낮다. 또한, 출혈과 수술 시간도 줄어들어 전신 마취 없이도 수술이 가능해 고령의 환자분들도 안전하게 수술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척추 협착증은 치료와 수술을 받아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따라 회복 상태가 달라지게 되므로 치료 후에도 꾸준한 관리와 적절한 운동이 필요하다. 장시간 고정된 자세로 앉아 있을 경우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고, 허리에 부담이 덜 가는 걷기, 수영, 등산 등 척추 주변의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도움 된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