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권의 맹추위에도 스키장은 스키, 스노보드 등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 위해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스키, 스노보드를 즐기던 중 넘어지거나 접촉사고 등으로 인해 다양한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겨울철은 추운 날씨 탓에 근육이 경직되고, 혈류량이 감소해 작은 부상에도 증상이 악화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겨울 스포츠 중 발생할 수 있는 부상 중에서 특히 발목 관절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발목 인대가 손상되는 부상을 주의해야 한다. 낮은 기온 탓에 발목을 삐끗하는 것만으로 발목 인대가 파열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발목 인대의 경우 부분적으로 파열되면 증상도 심하지 않고 치료도 쉽지만 완전히 파열될 경우에는 발목 관절이 부러져 일상생활을 하는 데 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겨울 스포츠로 발목 인대가 손상됐을 때는 빠른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
이를 방치한다면 고질병이 돼 발목이 지속적으로 삐거나 약해지고, 발목 관절 주변 인대가 지속적으로 손상돼 발목 인대 불안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발목 인대 불안정성은 장기간 방치하면 발목 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조기 치료가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이 부상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통증이 사라져 나은 것처럼 착각하기 쉽다. 하지만 실상은 다르다. 발목 인대는 섬유조직처럼 많은 가닥이 연결돼 있는 구조여서 발목 인대가 손상됐다는 것은 섬유 가닥 일부가 늘어나거나 끊어진 것을 뜻한다.
발목 인대 손상이 나타나면 심하지 않은 경우 약물∙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와 재활운동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조기에 치료하지 않아 발목 인대 불안정성으로 이어진 경우에는 손상된 인대들을 보강하고 재건하는 시술이 필요하다.
발목 인대 재건수술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한다. 관절내시경은 초소형 카메라와 레이져 기구가 들어있는 관을 어깨, 무릎관절, 발목관절 내부로 삽입하여 치료하는 수술 방법이다.
구리 참튼튼병원 오치헌 원장은 "이 수술은 내시경으로 병변 부위를 직접 보기 때문에 세밀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며, CT나 MRI 등 정밀진단으로 발견하지 못한 원인 모를 통증 및 관절에 물이 자주 차는 증상을 호소하는 환자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오 원장은 "최소절개로 진행되기 때문에 출혈과 통증이 적어 일상생활 복귀가 빠른 장점이 있다. 특히 발목 손상 시 가장 많이 시행되고 있는 수술로 많은 환자들이 높은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만약 치료시기를 놓쳐서 심각한 발목 관절염으로 악화됐다면 발목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이들 치료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발목 인대 파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에 예방하는 게 가장 좋다. 이를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을 생활화하고, 적정한 체중을 유지해 발목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는 게 좋다.
아울러 겨울 스포츠를 즐기기 전 경직된 근육과 인대를 풀어 주기 위해 충분한 준비운동을 통해 유연성을 높여 부상을 방지하는 게 좋다. 이밖에도 발목 통증이 나타난 경우 방치하지 말고 빠른 시일 내에 병원을 찾아 조기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좋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