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2018년부터 한국사 국정교과서와 함께 사용되는 검정교과서에 1948년 8월 15일을 ‘대한민국 수립’과 ‘대한민국 정부수립’중 하나를 선택해 표기하거나 둘다 표기할 수 있게 했다고 31일 밝혔다. 다만 국정교과서에는 ‘대한민국 수립’이라는 표현이 그대로 유지된다.
교육부는 이날 지난해 11월 28일 공개한 국정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을 약 한 달 동안 국민 의견을 수렴하고 편찬심의회심의 등을 거쳐 수정 보완한 최종본을 확정·발표했다. 최종본에는 논란이 됐던 ‘박정희 정권 미화’, ‘제주 4.3 사건’ 등에 대한 서술이 일부 보완됐다. 또한 2018학년도 각 학교가 도입할 검정교과서의 집필기준도 공개됐다.
최종본에는 현대사의 쟁점 내용이 일부 보완됐다. 박정희 정권 공과(功過)부분 서술의 경우 분량을 소폭 줄이고 새마을 운동의 성과와 함께 관 주도의 의식 개혁운동으로 전개됐다는 한계점을 명시했다.
또한 백범 김구 선생이 암살된 사실을 추가하고 제주 4·3사건 당시 무고한 희생자가 있었으며 이후 이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노력이 있었음을 유의점으로 제시했다.
또 친일파의 친일 행위와 위안부 관련 서술이 강화했다.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 관련 부분에서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친일파의 친일행위를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서술했다. 또 수요 시위 1000회를 기념한 평화의 소녀상 건립과 일본군의 일본군 위안부 집단 학살 사례를 새롭게 본문에 넣어 일본군 위안부 관련 서술을 늘렸다.
지도, 도표, 연표 및 사진 설명의 단순 오류도 수정했다. 채색을 달리해 지도상 탐라(제주)와 일본 를 명확히 구분되도록 했다. 델로스 동맹과 펠로폰네소스 동맹의 결성 순서가 뒤바뀐 부분과 르네상스 운동이 전개된 시기 등 객관적 사실관계에 오류가 있는 부분도 고쳤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