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교과서 최종본 공개… ‘1948년 대한민국 수립’ 유지

입력 2017-01-31 11:10
사진=YTN 캡처

정부가 31일 국정역사교과서 현장검토본에 포함된 내용 중 논란이 된 ‘박정희 정권 미화’ ‘제주 4·3 사건’ 서술을 보완한 최종본을 공개했다.


이와함께 ‘대한민국 수립일’ 논란에 대한 고육지책으로 오는 2018년부터 국정교과서와 함께 사용되는 검정교과서에 1948년을 ‘대한민국 수립’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중 하나를 선택해 표기하거나 둘 다 표기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국정 교과서 현장검토본 공개 당시 핵심쟁점이었던 ‘1948년 대한민국 수립’ 표기는 변화없이 최종본에 담겨 국정 교과서를 둘러싼 논란의 불씨를 남겼다.

교육부는 지난해 11월 공개한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고, 편찬심의회 심의를 거쳐 수정·보완한 최종본을 31일 확정해 발표했다.

교육부는 국정교과서 현장검토본을 지난해 11월 28일부터 12월 23일까지 4주간 인터넷에 공개하는 동안 수렴된 의견을 국사편찬위원회와 집필진에 전달했다.

국사편찬위원회와 집필진은 검토 의견 829건과 국회, 언론, 교육청, 교원단체에서 제기한 수정 의견 817건을 교육과정 및 학문적 타당성을 기준으로 검토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학교 역사교과서 310건, 고교 한국사 교과서 450건 등 760건을 최종본에 반영했다.

교육부가 공개한 국정 교과서 최종본에 따르면 현장검토본에 있는 ‘1948년 대한민국 수립일’ 표기는 최종본에 그대로 반영됐다. 다만 오는 2018년부터 국정 교과서와 함께 사용되는 검정 교과서에 1948년을 ‘대한민국 수립’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중 하나를 선택해 표기하거나 둘 다 표기할 수 있도록 했다.

논란이 된 박정희 정권 공과 서술은 분량을 소폭 줄이고, 새마을 운동의 성과와 함께 관주도 의식개혁 운동으로 전개됐다는 한계점도 명시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