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광명동굴의 경제적 가치는 153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경기도 광명시는 광명동굴의 개발로 발생한 경제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경제성 분석기관인 한국산업관계연구원에 의뢰해 이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고 30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광명동굴의 연간방문객 추이와 인근 유사시설의 방문객 추이를 바탕으로 2015년 4월 유료개장 후부터 2044년까지 30년간 광명동굴 방문객 수를 2016년 대비 매년 3.47%씩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해 6038만명으로 분석했다.
또 연도별 방문객수에 1인당 광명동굴에서 소비하는 평균값을 계산해 30년간 5451억원의 수입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이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매년 137억2000만 원의 수입이 발생하고 인건비와 운영비 등으로 77억6000만 원이 지출돼 59억6000만 원의 수익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순현재가치(NPV)로 계산해 연 수익을 공공부문 대출이자율 3.89%로 나누어 나온 금액이 1530억원이다.
광명시는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명동굴에 민간자본을 유치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 중이다.
양기대 시장은 “43억 원에 매입한 광명동굴이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최고의 동굴테마파크로 거듭나면서 자산가치가 1530억 원으로 37배 가량 높아졌다”며 “이런 광명동굴 자산가치를 민간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데 적극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광명시는 광명동굴을 개발하는데 2011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6년간 총 573억3000만 원을 투입했다.
이 중 토지 매입 78억원, 주차장 조성 139억원, 동굴진입로 확충 93억2000만원 등 모두 310억2000만원(전체 예산의 54.1%)이 기반시설을 조성하는 초기투자비로 사용됐다.
광명=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