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테러 방지를 위해 중동·북아프리카 7개국 국민의 일시 입국금지 행정명령을 내린 데 이어 외국인 방문객의 휴대전화 및 SNS 정보검색을 요구하는 행정명령을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CNN방송은 29일(현지시간) 스티븐 밀러 백악관 정책국장이 국무부, 세관국경보호국(CBP), 국토안전부 관계자와 휴대전화 및 SNS 정보를 스크린하는 문제를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밀러 국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인 방문객의 휴대전화 및 SNS 정보검색에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여론의 지지도 높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행정부는 외국인 방문객이 자주 방문하는 웹사이트 및 SNS 사이트를 모두 공개하고, 휴대전화로 접촉하는 사람의 정보를 모두 공개토록 요구하는 문제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만일 외국인 방문객이 정보제공을 거부할 경우 입국을 거부할 방침이다.
CNN방송은 익명의 관계자 말을 인용해 이와 관련된 초기 단계의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2015년 2월 사망자 14명과 부상자 22명을 낳은 샌버나디노 총기난사의 범인 사이드 파룩의 아내이자 공범인 타시핀 말리크가 익명으로 SNS에서 지하드(성전)를 촉구했다면서 유사한 테러를 막기 위한 방안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CNN방송은 션 스파이서 백악관 대변인에게 휴대전화 및 SNS 스크린 정책 논의와 관련된 논평을 요구했으나 답변을 받지 못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북아프리카 7개국 국민 일시 입국금지 행정명령이 무슬림 입국금지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행정명령이 무슬림 입국 금지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언론의 잘못된 보도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것은 종교 문제가 아닌 테러로부터 국가의 안전을 지키기 위함이다. 이번 행정명령에 제재를 받지 않는 무슬림 국가가 40곳 이상”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다음 90일 동안 가장 안전한 정책을 검토해 이행한다는 확신이 들면, 모든 국가에 비자 발급을 재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7일 테러와 관련된 이라크, 이란, 소말리아, 수단, 시리아, 리비아, 예멘 국민의 미국 비자발급 및 입국을 90일 간 금지하는 반이민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들 국가 국민이면서 다른 나라 국적도 보유한 이중국적자 역시 같은 기간 미국 비자발급 및 입국이 허용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트럼프 대통령이 이슬람 세계 사람을 차별한다는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