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56)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이 29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에서 조사를 받았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과 관리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 정관주(53) 전 문체부 1차관도 나란히 특검에 출석했다.
오후 1시40분쯤 호송차에서 연달아 내린 두 사람은 아무 말을 하지 않고 곧장 조사실로 향했다.
특검팀은 김 전 차관에게 삼성그룹의 최씨 일가 특혜 지원 의혹을 조사하고, 정 전 차관에게는 블랙리스트 작성·관리에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가 있었는지를 확인할 방침이다.
김 전 차관은 2013년 9월 취임해 ‘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지기 전까지 3년간 재임했다.
박 대통령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비롯해 최순실(61·구속기소)씨가 체육계 인사 개입과 각종 이권을 챙기는데 앞장섰다는 의혹을 밝혀줄 핵심 인물로 꼽힌다.
김 전 차관은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강요, 공무상비밀누설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다.
김 전 차관은 최씨와 최씨의 조카 장시호(38)씨와 함께 지난해 10월부터 지난 3월까지 삼성그룹 프로스포츠단을 총괄하는 김재열 제일기획 스포츠총괄사장에게 압력을 행사해 장씨가 운영하는 센터에 16억2800만원을 후원하게 한 혐의를 받고 있다.
김 전 차관은 지난해 3월 K스포츠재단과 더블루케이가 대한체육회를 대신해 광역스포츠클럽 운영권을 독점할 수 있도록 문체부 비공개 문건을 최씨에게 전달한 혐의도 받고 있다.
정 전 차관은 청와대 근무 당시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을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다. 그는 차관으로 발탁될 때 최씨가 관여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자 사임했다.
특검팀은 문화계 블랙리스트가 김기춘(78) 전 청와대 비서실장의 지시로 청와대 정무수석실 산하 국민소통비서관실에서 작성된 것으로 보고 있다. 이 문건은 교육문화수석실로 전달된 뒤 문체부에서 실행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특검팀은 지난달 26일 압수수색에서 명단 일부를 확보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