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오는 2월1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NHK등 일본 언론들은 아베 총리가 28일 밤 도쿄 총리관저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이같이 합의했다고 29일 보도했다.
양국 정상은 이번 전화 회담에서 미일 동맹의 중요성을 확인했으며, 미일 경제 관계 중요성에서도 동의 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탈퇴 결정을 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및 양국 간 자유무역협정(FTA)은 구체적으로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에서)약속한 것은 속도감을 갖고 잘해나가야 한다. 시작이 중요하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것은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TPP 탈퇴에 대해 일본의 이해를 구한 발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아베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을 축하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으로 미국이 더 위대한 나라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신뢰할 수 있는 동맹국으로서 역할을 하고 싶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는 이번 전화통화에서는 주일 미군의 주둔 경비 문제를 언급하지 않았지만, 다음달 정상회담에서는 이와 관련한 이야기가 나올 수 있어 일본 측은 대응에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내달 정상회담에서 아베 총리는 미국이 지속해서 아시아·태평양 지역 안보 문제에 관여하도록 트럼프 측에 촉구할 전망이다.
아베 총리는 회담 후 기자단에 "전화 회담에서 경제와 안보 문제 등에서 미일 동맹의 중요성을 확인했다"며 "2월 10일 미일 정상회담에서는 경제, 안보 전반에 걸쳐 솔직한 의견을 교환할 것"이라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해 11월 트럼프 대통령 후보의 당선 직후 미국에서 그와 만나 미일 관계 전반에 대해 논의한 바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같은 달 트럼프 당선인과 통화를 하고 한미동맹 등 양국 관계 발전방안을 협의했었다.
당시 박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에게 빠른 시일 내 한국을 방문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국회의 탄핵소추안 가결에 따른 직무정지 이후 구체적인 일정은 조율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한미 정상회담 일정은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결정 이후 협의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헌재가 박 대통령 탄핵안을 인용, 조기대선이 이뤄지더라도 올 상반기 중에는 한미 정상회담 성사가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