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전 국민의당 상임공동대표는 24일 정권교체를 위한 야권 연대론에 대해 “어떤 시나리오, 구도 하에서도 정권교체가 가능하다”고 일축했다.
안 전 대표는 KBS ‘대선주자에게 듣는다’에 출연해 “나라가 망할 정도로 사건을 저질렀는데 정권교체가 안 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민주주의가 위대한 것은 책임지기 때문”이라며 “정권을 잡은 쪽에서 실정하면 국민이 심판한다. 정권을 빼앗긴 쪽에서는 국민 눈 높이에 맞추려 하면서 나라가 발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도 하차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지난 총선에서 돌파력을 증명했다. 힘든 여건에서 신념을 갖고 관철해 40석 가까운 정당을 만들고 3당 체제를 만들었다. 혼자 창당해 (이만큼 이룬 것은) 역사에서 다섯 손가락에 꼽힌다”고 일축했다.
야권 단일화와 양보 가능성에도 “그럴 일 없을 것이다. 정권교체는 어떤 시나리오, 구도에서도 100% 당연하다고 본다. 그렇게 되면 두 후보(문재인·안철수) 가운데 누가 더 좋은 정권교체인가. 나라를 살리는 정권교체인가 마음껏 선택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안 전 대표는 “자강론이 연대를 위한 몸값 높이기 아니냐”는 지적에 “그렇지 않다. 지난 선거를 보면 자기가 속한 정당에 믿음이 없거나 자당 후보에 신뢰가 없는 정당이 승리한 예가 없다. 더불어민주당이 연전연패한 것도 그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새누리당과 바른정당도 계속 바깥에 구애하는데 그러면 성공을 못한다”며 “자신에게 믿음도 없는데 어떻게 국민에게 ‘믿어달라, 표를 달라’고 하겠느냐”고 부인했다.
그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에게 문을 걸어 잠그는 듯하다”는 질문에 “어떤 분이 집권할 때 정권교체냐, 연장이냐 구분할 수 있어야 한다. 기준은 3개다. 박근혜 정부와 관련이 없어야 한다. 부패 기득권 세력을 개혁하려는 의지가 있어야 한다. 함께 하는 사람이 개혁적인 사람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귀국한 지 2주도 안 됐는데 박근혜 대통령에게 전화하는 것은 국민 정서에 안 맞고, 함께하는 사람 중 이명박 정부, 심지어 박근혜 정부 사람도 있다”며 “정권 연장이라고 많은 분이 판단했다”고 선을 그었다.
안 전 대표는 “반 전 총장과 지지층이 겹쳐 견제하는 것 아니냐”는 물음에 “객관적인 상황을 말하는 것이다. 10년 유엔 사무총장을 한 사람은 몇 명 없다. 다음 대선에 나오기 여러 여건상 어려우신 것 같다. 거기에 고민이 깊다는 것을 안다”고 부인했다.
그는 “직선제 대통령 중 롤 모델을 꼽아달라”는 요청에 “김대중 대통령을 꼽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다가올 시대를 보는 혜안과 준비가 철저한 분”이라며 “IT산업의 중요성을 대선 전부터 주장했고 당선 이후 공약에 그친 것이 아니라 실제로 이해하고 산업을 일으켰다”고 평가했다.
안 전 대표는 4차 산업혁명 대응 방법으로 “교육 개혁으로 돌파해야 한다”며 “교육부를 없애고 국가교육위원회와 교육지원처로 재편해야 한다. 중장년층도 살아남기 위해 국가가 그분들의 교육을 책임져야 한다. 평생교육을 100배 수준으로 강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그는 개헌 시기와 방향에 대해 “지방선거 때 동시에 해야 한다”며 “국회에서 합의됐다고 바로 국민투표에 붙이는 것은 국민 민심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부적인 것을 시민사회 전문가는 잘 알지만 일반 국민은 모른다”며 “일정기간 공론화 과정을 거쳐 개헌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안 전 대표는 권력구조 개편 방향에 대해 “의원내각제는 시기상조”라며 “내각제를 제외한 권한축소형 대통령제나 이원집정부를 선택하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본다”고 답했다.
그는 국민의당이 당론으로 정한 결선투표제에 대해 “위헌 소지는 개혁입법 때마다 항상 나온다. 나중에 보면 위헌이 아니라고 판결이 난다. 옳은 방향이라면 아무리 어려워도 관철하는 것이 정치”라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는 노동개혁 방향에 대해 “일방적으로 노동자 희생을 강요하면 안된다. 국가가 해야할 몫은 사회적 안전망을 만드는 것이다.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드는 것은 기업의 책무”라고 했다.
이어 사드 배치와 관련해 “미국과 협약하기 전과 후가 다를 수밖에 없다. 외교에서 최고의 판단기준은 국익이다. 중국과 미국을 설득해 북핵 실마리가 풀리기 시작할 때 미국에 사드 배치 철회를 요구할 수 있다고 본다”는 입장을 내놨다.
안 전 대표는 남북관계 해법에 대해 “대화해야 한다고 본다. 어느나라를 제재해서 체제가 붕괴된 것은 없다. 협상 테이블을 만드는 것을 주도적으로 해야한다”고 했다.
그는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는 “당사자들이 살아있다. 다음 정부에서 재협상해야 한다”면서도 “다만 경제와 역사는 분리해 투트랙으로 진행하는 것이 옳다”고 설명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