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인 A 씨는 “21살부터 제과제빵업에 일해왔으나 6년 전이나 지금이나 변한 것이 없다. 오전 4시에 출근해 오후 6시에 퇴근하는데 급여는 한 달 120만원에 불과하고 주 5일제는 찾아보기 힘들다”며 제과제빵업계의 근로조건 개선을 주문했다.
디자이너 B 씨는 “디자인처럼 창작물에 관련된 직종은 페이 정하기도 모호하고, 수정사항에 대한 규정을 정하기도 모호하다. 디자이너 3년이면 친구도 애인도 없다는 웃픈 이야기.. 디자인, 광고업계의 당연하듯 이어지는 무보수 야근 좀 해결해주세요”라고 사례를 신청했다.
이재명 경기도 성남시장은 “지난 23일 대선 출마을 선언하고 첫 번째 정책 행보로 ‘열정페이 SNS피해 사례 접수’을 받았는데 하루 만에 500여 건이나 쏟아졌다”고 24일 밝혔다.
이 시장은 “23일 오후 5시 30분부터 24일 오전 9시 30분까지 총 16시간 동안 블로그 댓글과 안부글, 메일로 100건, 페이스북 댓글과 쪽지로 350건, 트위터 멘션과 쪽지로 50건 등 총500여건의 열정페이 SNS피해 사례를 신청받았다”며 “신청받은 열정페이 피해 사례들은 현재 정책 싱크탱크인 ‘공정포럼’ 전문가 그룹에서 정책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시장 측 관계자는 “언론보도나 연구자료를 참조해 열정페이 근절대책을 수립하여 공약을 제시할 수도 있었다”면서 “하지만 실제 피해를 보고 있는 청년세대의 생생한 목소리를 듣기 위해 대선 출마 첫날 발 빠르게 정책행보를 추진한 것인데 짧은 시간에 많은 사례접수가 몰려 정책 대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계자는 “특히 이번 사례 접수에서는 통상 정치에 관심이 없는 것으로 생각됐던 20대 여성들이 폭발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재명 시장 “유형별 맞춤형 열정페이 근절대책을 마련해 재능 있는 청년들에게 열정을 구실로 무임금 혹은 아주 적은 임금을 주고 헌신을 강요하는 노동력 착취 행태를 이번 기회에 반드시 뿌리 뽑겠다”고 강조했다.
성남=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