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은 35세 이상 여성의 약 40~50%가 발생하는 종양 중에서 가장 흔한 양성종양이지만 발견하고 치료하기 전까지는 자궁근종이 있는 모든 여성의 근심거리가 될 수 있다.
자궁근종은 자궁을 이루고 있는 근육층에 생기는 혹으로 정상적인 세포가 변성돼 이상증식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증상이 나타나도 생리통과 흡사해 계속 방치하다가 혹이 커져 병원을 찾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보통 주된 증상은 월경과다이며 골반통증, 월경통, 골반 압박감, 빈뇨 등이 나타나는데 그 증상이 심하지 않는 이상 초기에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건강검진이나 정기적으로 산부인과를 찾아 초음파검사를 해보는 것이 좋다.
과거 초음파로 근종의 위치, 크기만으로 자궁적출(Hysterectomy) 여부를 결정했으나 최근에는 수술 없이 비수술로 간단하게 치료하는 하이푸(HIFU)치료가 보편화돼 어렵지 않게 자궁근종을 치료할 수 있다.
적응증에 있어 보다 정확한 진단이 필요한 근종제거술(Myomectomy)과 선근증제거술(Adenomyomectomy) 같은 수술적 영역뿐만 아니라 하이푸(HIFU), 색전술, 근종용해술과 같은 비수술 최소침습 영역은 초음파와 MRI를 포함한 다양한 진단 기기를 이용한 치료계획이 필요하다.
참조은병원 조필제 하이푸센터장은 “하이푸를 이용한 치료는 적응증에 있어 ‘대한산부인과학회 하이푸 임상가이드라인’의 지침에 따른 적절한 환자선택과 시술 전 MRI검사를 통한 정교한 진단을 통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다”며 “참조은병원에는 고해상도의 3.0T MRI와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치료 효과가 있는 기술력이 인정된 인체에 무해한 HIFU장비가 완비돼 있다”고 말했다.
한편, 조필제 하이푸센터장은 하이푸 1400례와 복강경 3000례의 풍부한 시술경험이 있고, '대한산부인과학회 하이푸치료 임상가이드라인' 제정에 있어 하이푸 임상의로서는 유일하게 참여한 하이푸 TFT(Task Force Team)전문위원으로 많은 국내외 산부인과학회에서 초청받아 적절한 하이푸치료의 임상지침에 대한 강의를 한 바 있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