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안영주(
오른쪽) 교수 연구팀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시행된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만19세 이상 성인 1만6374명(남자 6959명, 여자 9415명)을 대상으로 수면시간과 시력장애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4일 밝혔다.
연구팀은 수면시간에 따라 조사 대상자를 5시간 이하, 6시간, 7시간, 8시간, 9시간 이상으로 분류했고, 세계보건기구(WHO)의 기준에 따라 최대교정시력이 0.33(0.5) 미만인 사람을 시력장애자로 규정했다. 그리고 이를 근거로 오즈비 (Odds ratio, 집단간 비교를 통해 확률이 얼마나 높은지 나타내는 수치) 값을 구했다. 나이, 성별 등의 인구학적 요인과 소득, 직업, 흡연, 운동, 자살생각율 등의 생활환경요인 및 당뇨, 고혈압, 뇌졸중, 이전의 안과수술 병력 등의 의학적 요인도 고려했다.
그 결과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인 그룹에 비해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5시간 이하인 그룹은 시력장애의 위험이 3.23배 (Odds ratio 3.23, 95% 신뢰구간 1.43-7.31),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9시간 이상인 그룹은 시력장애의 위험이 2.56배 (Odds ratio 2.56, 95% 신뢰구간 1.03-6.41)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눈으로 들어온 빛은 망막에서‘ipRGC’라는 광수용체세포와 반응하여 시상하부에 있는 시신경 교차상핵(SCN, suprachiasmatic nuclei)을 자극하게 된다. 시신경 교차상핵은 우리 몸의 생체시계로 송과체에 수면유도 호르몬인‘멜라토닌’을 분비하라는 신호를 보내 수면-각성 주기(Sleep-wake cycle)를 일정하게 조절한다.
하지만, 시력장애로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감소하거나 밤낮이 바뀌는 생활이 지속되면 수면-각성 주기에 문제가 생기고, 이는 수면 부족 현상을 불러와 불면증이나 주간졸림증으로 이어지게 되어 삶의 질이 저하됨은 물론 정신적인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또한, 충분한 수면시간을 가졌음에도 수면의 질이 떨어지게 되어 이에 대한 보상심리로 더 많을 잠을 자게 된다.
게다가 수면이 부족한 경우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백내장이 유발되어 시력장애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적정한 수면시간을 유지하는 것은 눈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
주천기 교수는 “단면조사에 따른 결과이므로 수면시간과 시력장애간의 인과관계를 모두 설명하기는 어려우나, 적정 수면시간 유지를 통해 시력장애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눈 건강을 위해서 보다 적극적인 수면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수면 관련 국제 학술지 ‘슬립 메디신(Sleep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