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A씨는 정기 초음파 검진을 받은 후 자궁근종을 진단받았다. 생리 양이 갑자기 늘고 배뇨 시 통증이 있었지만 검진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자궁에 근종이 있을 것이라곤 예상하지 못했다.
자궁근종 증상은 자궁을 이루는 평활근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면서 생긴 양성종양을 말한다. 35세 이상 여성 2명 중 한 명에게 발생할 만큼 여성에게 흔한 질환이지만 발병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초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주의를 요한다. 최근에는 20대의 발병률도 많이 늘어나 미혼 여성의 산부인과 정기 검진의 중요성도 부각되는 추세다. 미혼 여성의 경우 산부인과 검진을 꺼리는 경우가 많은데 생리 양이 급격히 증가하고 복통 증상이 자주 나타난다면 주저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야 한다.
근종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궁적출술, 자궁근종 복강경 수술 등을 시행했지만, 최근에는 인체에 무해한 고강도 초음파를 집속하여 세포를 괴사시키는 하이푸로 치료가 가능하다. 무마취, 무통증 등 장점이 많아 이를 치료 방법으로 선택하는 여성이 급속히 늘고 있다.
열에 취약한 종양 세포를 65~100℃의 고온으로 소멸시키는 것이 하이푸 치료의 기본적인 원리이다. 제거하고자 하는 종양에 고강도 초음파를 집속하므로 자궁 절개를 하지 않아도 치료가 가능하다. 당일 퇴원이 가능할 정도로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2000년 무렵에 시작된 치료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엄격한 심의를 통과해 자궁근종, 자궁선근증 시술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정받은 신의료기술이다.
아름제일여성병원 유원식 병원장은 “치료 후에는 좋은 효과와 빠른 회복을 위해 혈액 순환이 원활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수술 3주 후부터 가벼운 유산소 운동을 일주일에 2~3회 하는 것이 좋으며, 체중 관리에 주의를 기울여 체지방의 과도한 축적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재작년 자궁근종 치료를 받은 환자는 약 29만 8552명으로 10년 전에 비해 무려 65%나 증가했다”면서 “발병률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인 만큼 6개월에 한번씩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자궁질환을 예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전재우 기자
자궁근종, 하이푸 치료의 효과는?
입력 2017-01-20 1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