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도심권의 대표적인 한옥주거지인 종로구 북촌(北村) 일대(약 113만㎡)에 대해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에 착수한다고 20일 밝혔다.
북촌은 서울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를 갖는 유서 깊은 마을이자 지역 고유의 정취와 분위기가 잘 보존된 종로구 가회동·계동·삼청동 등 일대다. 시는 2001년 북촌가꾸기 사업을 시작으로 한옥등록제 시행, 한옥매입·활용, 한옥 개·보수 지원 등을 통해 한옥주거지를 보전해 왔다.
또 장기적으로 북촌의 한옥과 고유한 정주환경 보전을 위한 사업을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해 2007년, 2010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주요 가로변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상업화가 현재는 주거밀집지까지 확대돼 정주 환경이 열악해졌고 상업용도 한옥의 외관 변형, 옥외광고물 난립, 주차공간 부족, 프렌차이즈 업체의 골목상권 잠식 등 새로운 문제가 대두됐다.
특히, 북촌을 방문하는 관광객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소음 발생, 쓰레기 무단투기, 주거시설 무단침입 등도 큰 문제로 제기됐다.
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이번 지구단위계획 재정비를 통해 개선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주요 재정비 사항은 기존 지구단위계획 운영실태 조사·분석, 급격한 상업화 및 관광지화에 따라 악화된 정주환경 개선,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대응을 위한 골목상권 보호 대책, 마을재생을 위한 주거환경관리사업구역 지정 등이다.
시는 오는 24일 오후 3시 삼청동주민센터에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용역 착수보고회를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보고회에서는 지구단위계획의 주요 재정비 내용,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주민협의체 참여방안 및 주민소통방 운영계획 등에 대한 안내, 지구단위계획 관련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의·응답 등이 진행된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북촌에 대형프랜차이즈 가맹점 입점과 관광버스 출입 제한 등이 논의될 지 주목된다.
앞서 시는 지난해 3월 경복궁 서측 ‘서촌(西村)’ 일대에 대해 프랜차이즈 가맹점과 카페, 음식점 등의 입점을 일정정도 제한하는 내용의 지구단위계획 재정비안을 발표한 바 있다.
자하문로와 사직로변을 제외하고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들어올 수 없고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나 음식점도 이미 상권이 활성화된 지역이 아니면 입점을 제한하는 내용이다. 대로변 이외 지역은 최대 4층까지만 건축을 허용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서울의 대표적인 전통주거지인 북촌의 독특한 경관을 조성·유지하고 정주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사업을 지속적·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가는 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