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잇따른 악재로 흔들리는 부영그룹

입력 2017-01-18 21:49

지난해 1조5000억원 규모의 부동산 쇼핑으로 재력을 과시한 부영그룹이 새해 연이은 악재에 흔들리고 있다. 이중근(76) 회장의 최순실 게이트 연루 의혹은 여전하고, 공정거래위원회 조사와 과징금 부과에 아파트 미분양 사태까지 겹쳤다.

17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부영그룹은 여러 악재로 고전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12일 하도급 대금 등 총 5억2800만원을 제 때 주지 않은 부영주택에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4억5200만원 부과를 결정했다. 부영주택은 2014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26개 공사 현장에서 131개 하도급 업체에 5억2800만원을 지급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영아파트·부영호텔 등 신축 공사를 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준공검사를 받은 뒤 하도급업체에는 정산이 마무리되지 않았다는 핑계로 대금 지급을 피하는 식이다. 부영주택은 공정위 조사가 시작되자 부랴부랴 미지급금을 지불했다.

잇따른 미분양도 부영그룹에겐 부담이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분양한 김천 혁신도시 사랑으로 부영 1단지는 890가구 공급에 1‧2순위 접수가 77건에 불과해 813가구가 미달됐다. 최근 분양한 경주 외동 부영 사랑으로 아파트도 1‧2단지(공급 3230세대) 청약 접수 건수가 20건에 불과해 3210여세대가 미분양 됐다. 임대아파트 분양 당시 부영 그룹이 1조6000억원대 폭리를 취했다는 의혹을 두고 전국에서 100여건의 소송도 진행 중이다.

이 회장은 최순실 게이트와 관련, 지난해 2월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과 만나 K스포츠재단에 70억∼80억원을 추가 지원하는 대신 국세청 세무조사 무마를 논의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부영그룹 측은 “이 회장이 세무조사 편의 얘기를 꺼내지 않았다”는 입장이지만 특검은 최근 이 회장을 출국금지 조치했다.

이를 두고 계열사 18곳의 상장을 하지 않은 채 이 회장 1인 체제를 고수하는 부영그룹의 경영방식이 한계에 달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회장은 그룹 지주회사 역할을 하는 부영의 지분 93.79%를 보유하고 있고, 장남 이성훈(50) 부영 부사장의 지분 1.64% 외에 자녀들의 지분은 거의 없는 상황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이 회장이 특검에 사법처리되는 상황이라도 발생하면 부영 전체가 큰 어려움에 빠질 수 있는 구조”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