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정부서 승승장구… 조윤선은 왜 특검 포토라인 섰나

입력 2017-01-17 14:46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의 작성과 관리를 주도한 혐의를 받고 있는 조윤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17일 오전 서울 강남구 대치동 특별검사 사무실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하고 있다. 뉴시스


17일 피의자 신분으로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의해 소환된 조윤선(51)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박근혜 정부에서 요직을 두루 걸친 핵심 인사다.

조 장관은 국내 최대 로펌 김앤장 변호사로 활동하다 2002년 16대 대선 당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공동대변인을 하면서 정계에 발을 들였다. 지난 2007~2008년에는 한국씨티은행에서 법무총괄 부행장직을 역임하기도 했다.

조 장관과 박근혜 대통령의 인연은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 장관은 박 대통령의 대선후보 시절 캠프에서 대변인을 맡았다. 이후 대선 국면에서 박 대통령의 전국 유세 현장을 동행하며 밀착 수행했다.

그 인연으로 박 대통령 당선 이후 조 장관은 계속 중용됐다. 인수위 대변인을 거쳐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첫 내각에서 여성가족부 장관에 올랐다. 조 장관은 이듬해 6월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정무수석에 임명되기도 했다.

지난해 총선 당시 당내 경선에서 이혜훈 후보에 밀렸지만, 곧 문체부 장관으로 부활하며 박 대통령으로부터 두터운 신뢰를 받고 있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청와대는 내정 당시 조 장관에 대해 "대통령의 국정철학을 잘 이해하는 분"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하지만 조 장관은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후 관련 내용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책임을 회피하기 위한 변명이라는 지적이 쏟아졌다.

특히 조 장관은 박근혜 정부 '비선실세'로 지목된 최순실(61·구속기소)씨의 존재를 몰랐다고 주장했다. 본인의 직권남용 혐의와 관련된 '문화계 블랙리스트'의 존재 역시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다.

조 장관은 국회 국정조사 청문회 과정에서도 국정농단 개입 의혹을 부인했다. 이 과정에서 정무수석으로 지낸 11개월 동안 박 대통령과 독대한 적이 단 한 차례도 없었다는 사실이 공개되기도 했다.

조 장관의 이 같은 진술과 주장에 국회 국정조사 특위는 집중 포화를 날렸다. 수년에 걸쳐 박 대통령을 밀착 수행하고 각종 요직을 거친 조 장관이 '비선실세' 최씨나 문화계 블랙리스트 존재를 몰랐다면 무능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었다. 국정농단 의혹을 알고도 묵인했다면 직무유기에 해당한다는 지적도 있었다.

이에 대해 조 장관은 "변명의 말씀을 드릴 것은 없다"고 버텼다.

조 장관의 사과와 해명에도 불구하고 특검팀은 이날 조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공개 소환하며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현재 조 장관은 정무수석으로 근무할 당시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 및 관리 과정에 개입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조 장관이 2014년 6월 정무수석으로 임명된 뒤 수백명이던 명단이 수천명으로 확대된 만큼, 이 과정에 조 장관이 역할이 있었을 거라는 관계자의 폭로도 나온 상태다.

특검팀은 정부 지원 배제 목적으로 작성된 해당 명단의 유통 경로를 볼 때 조 장관이 문화계 블랙리스트 존재를 알고 있었고, 나아가 작성 및 관리 과정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국정조사 과정에서의 진술과 주장들이 사실과 다르다며 국정조사 특위에 위증 혐의 고발을 요청하기도 했다.

조 장관은 특검팀의 수사가 계속되고 국정조사 특위가 자신을 위증 혐의로 고발하자 블랙리스트의 존재를 처음으로 인정했다. 지난 9일 국정조사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한 조 장관은 "예술인들의 지원을 배제하는 그런 명단은 있었던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고 마지못해 밝힌 것이다.

특검팀은 조 장관의 증거인멸 정황도 다수 포착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월 연한이 남은 컴퓨터 교체를 지시한 것도 문화계 블랙리스트 관련 증거를 폐기하기 위한 것이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특검팀은 조 장관에 대한 조사 내용을 토대로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조 장관이 특검 조사에서 기존 입장을 반복할 경우 증거인멸 우려 등을 이유로 구속영장 청구 가능성이 더 커질 수 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