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61)씨의 조카 장시호(39)씨가 총괄한 한국동계스포츠영재센터(영재센터) 후원에 삼성이 적극 나선 구체적 정황을 검찰이 17일 공개했다.
검찰은 삼성전자가 2015년 10월 영재센터에 후원금 명목으로 5억5000만원(1차), 2016년 3월 10억7800만원(2차) 등 16억2800만원을 후원금 명목으로 지급한 것으로 보고 있다.
최씨, 장씨, 김종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은 삼성그룹 관계자에게 영제센터 후원금을 내도록 압박한 혐의(직원남용권리행사방해 및 강요)를 받고 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2부(부장판사 김세윤) 심리로 열린 최씨, 장씨, 김 전 차관의 1차 공판에서 검찰은 삼성이 영재센터에 1·2차 후원을 하면서 주고 받은 이메일을 공개했다.
삼성은 1차 후원 당시 영재센터에 “금일 오전 중 업체 등록을 해주면 감사드리겠다”고 이메일을 보냈다. 검찰은 “1차 후원 때 영재센터는 후원금을 받기 위해 필요한 업체 등록조차 이뤄지지 않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이라는 글로벌 기업이 기본 여건도 안 갖춰진 사단법인에 억대의 후원금을 지급한 셈이다.
또 영재센터는 2차 후원 당시 삼성에 후원금을 “한 달 당겨 달라”고 요청하면서 “후원 계약서를 오늘 저녁 퀵으로 보내달라”고까지 요구했다.
1차 후원 당시 영재센터 담당자와 처음 접촉한 삼성전자 신모 차장은 검찰 조사에서 영재센터에 매력을 찾기 어려웠다고 진술했다.
정작 실무자들은 후원의 필요성을 못 느끼면서도 윗선의 지시에 따라 일을 진행한 것이다.
신 차장은 검찰에서 “영재센터를 통한 삼성전자 홍보 매력을 찾기 어려웠고 PPT 자료도 부실했다”며 “후원을 해도 회사에 별로 도움이 안 될 것 같았다”고 밝혔다.
그는 “영재센터 관계자가 먼저 15억원을 제시해 놀랐다”며 “작은 단체는 3000만원, 큰 곳은 1억~3억원 정도 후원하는 걸로 알고 있다. 이렇게 큰 액수가 나와서 너무 놀랐다”고도 말했다.
이후 의문이 가시지 않은 신 차장은 상관인 박모 상무에게 이 같은 사실을 보고했다. 그런데 박 상무가 “하라면 하는 거지 안 할 수 있겠냐”라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영재센터 후원 관련 실무를 담당한 삼성전자 강모 과장은 “윗선에서 영재센터 지원을 매우 서둘렀다”고 검찰에 진술했다.
그는 “영재센터에서 급하다고 하니 최대한 빨리 후원금을 줄 수 있도록 하라는 취지의 말을 이모 상무로부터 들었고 급하게 지급한 걸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강 과장은 이어 “상무님의 말이나 분위기를 보면 상부에서 어떤 압력을 받고 있는 걸로 느껴졌다. 위에서 시키는 일이라 토 달지 못하고 그냥 진행했다”고 말했다.
또 강 과장은 2차 후원과 관련해 “상무님이 저와 지모 상무님이 있는 자리에서 후원계약서를 보고 10억원 또 줘야되냐라는 푸념과 함께 위에서 챙기니 해야 되고 긍정적으로 검토하라고 말했다”고 밝혔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