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교수팀은 충북의대 예방의학과, 국립암센터 연구팀 연구진과 공동으로 국내 암환자·가족 725쌍과 이들을 진료하는 암전문의 134명을 대상으로 암 치료법 선택 및 결정에 가족이 참여해야 하는지를 조사했다.
그 결과 암환자의 94.8%, 가족의 97.4%, 암전문의의 98.5%가 가족이 참여하는 것이 좋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암환자와 가족 90% 이상은 가족의 참여가 치료결정, 의사소통, 심리적지지를 돕는다고 했다. 암전문의도 치료결정(76.1%), 의사소통(82.8%), 심리적지지(91.8%) 등 긍정적 효과에 대체로 동의했다.
반면 조사대상 암 환자의 21.5%와 가족의 23.7%, 암전문의 중 34.3%는 가족의 참여가 오히려 치료결정을 복잡하게 만든다고 답했다. 또 상당수의 환자(68.6%)와 가족(60.7%)은 가족의 참여가 환자의 자율성을 해치지 않는다고 했지만, 암전문의 중 56.8%는 자율성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하는 시각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신동욱 교수는 “암환자 가족은 환자의 치료결정 과정에서 의료진에게는 정보를, 환자에게는 심리적 안정을 주는 등의 큰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역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보여주며, 가족의 좋은 역할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암과 정신 치료 분야 국제 학술지 ‘사이코 온콜로지(psycho-onc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