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근한 것처럼…" 초과근무 수당 위해 밤늦게 다시 출근한 경찰들

입력 2017-01-17 06:55
사진=YTN 캡처

퇴근했던 경찰이 다시 청사로 돌아와 지문을 찍는 장면이 담긴 영상이 언론을 통해 공개됐다. 단체로 승용차를 타고 와 퇴근 시간을 조작한 모습도 담겨 공분을 사고 있다.

YTN은 충남 아산에 있는 한 경찰 교육원에서 경찰들이 초과 근무 수당을 타내기 위해 퇴근 후 돌아와 야근한 것처럼 지문을 찍는 장면이 담긴 영상을 17일 공개했다.

영상에는 직원으로 보이는 한 남성이 승용차에서 내려 출퇴근용 지문인식기에 손가락을 찍고 다시 차를 타고 떠나는 모습이 담겼다. 이후 또 다른 차량이 청사 안에 들어오더니 이번엔 아예 단체로 내려 퇴근 지문을 찍고 사라진다.


지문 인식기 옆엔 당직 근무자가 있지만 제재하지 않는다. 당직자는 "초과 근무하는 사람들이 어떤 업무를 했는지 보는 게 아니라 (기자님처럼) 낯선 사람이 오면 챙기는건데..."라고 매체에 말했다. 

이 때문인지 일부 직원들은 여유롭게 인사까지 나누며 자연스럽게 수당 부풀리기를 한다. YTN은 취재진이 찾은 날 초과 근무를 등록한 사람은 49명. 그 중 부정이 확인된 사람은 13명이었다고 설명했다.


한 직원은 수당 때문에 그런거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하루에 4시간만 수당 신청이 가능하니까 이번에 일을 많이 했으면 한달에 30시간 이상 했으니깐 그것만 딱 찍자 그런 것"이라는 답변을 내놓기도 했다.

보도에 따르면 경찰 공무원의 경우 6시 퇴근 후 초과 수당 마감 시간인 10시 전까지 돌아와 지문만 찍으면 시간당 만원, 한 사람당 최대 4만원의 수당을 챙길 수 있다. 하루 평균 10명만 이 같은 수법으로 수당 부풀리기를 한다고 가정할 경우 1년이면 1억 원의 초과 수당이 발생한다.

경찰청이 지난해 교육원에 대한 감사를 벌였지만 수당 허위 청구로 적발된 직원은 단 한 명이었다. 때문에 제 식구 봐주기식의 ‘솜방망이 처벌’이가 이같은 관행을 키웠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찰 관계자는 “감찰 활동이 부족했다는 점을 인정하고 향후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를 강화하겠다”고 YTN에 말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