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것이 알고 싶다”…‘구안와사 구인구색’ 속 Q&A

입력 2017-01-16 16:45

최근 안면신경 마비 질환, 즉 구안와사를 집중적으로 진료한 한의사 9명이 도서 ‘구안와사 구인구색’을 출판해 화제다. 스트레스와 과로로 체내 면역력이 떨어져 발생하는 구안와사의 원인부터 증상, 치료 사례까지 생생한 현장감을 담아 독자들의 호평을 받고 있다.

공저로 집필에 참여한 단아안 청아한의원 마포점 김진아 대표원장은 “구안와사는 환자가 질환에 대해 이해해야 효율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집필 배경에 관해 설명했다.

이번 ‘구안와사 구인구색’ 도서는 환자는 물론, 환자의 가족과 지인도 쉽게 구안와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 ‘Q&A’가 눈길을 끌었다.

김 원장은 “다양한 전문지식을 어렵게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을 위해 가장 궁금해하는 질문 몇 가지를 뽑아 질의응답 형식으로 구성했다”며 “풍부한 임상경험을 가진 한의사 9명이 함께 집필한 만큼 구안와사의 정의부터 치료, 생활 관리까지 전반적으로 알 수 있을 것”이라고 소개했다.

‘Q&A’에는 구안와사가 노인들만 걸리는 병 아니냐는 질문도 있다. 정답은 ‘그렇지 않다’. 최신 통계에 따르면 30대부터 60대까지의 환자 수가 전체 환자의 4분의 3을 차지하고, 20대의 젊은 환자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김 원장은 관련 내용을 소개하며 “남녀노소 누구나 발병할 수 있기 때문에 젊다고 자신하지 말아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안와사를 한의원에서 치료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환자들의 높은 만족도와 신뢰를 토대로 가능하다고 설명한다. 한의학에서 구안와사는 역사가 오래된 만큼 연구와 임상경험이 풍부해 환자들의 만족도가 높다는 것. 실제로 매년 발생하는 구안와사 환자 중 3분의 2가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서 치료를 받는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그렇다면 구안와사에 좋은 음식은 뭘까. 구안와사 환자들은 얼굴에 분포하는 위 경락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소화 장애를 겪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닭고기와 찹쌀, 수수, 마늘, 생강, 고추, 밤, 대추, 호박, 쑥 등 성질이 따뜻하고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먹는 것이 좋다.

이외에도 오래된 구안와사를 치료할 수 있는지와 구안와사 증상 판단의 기준, 초기에 치료해야 하는 이유 등이 보기 쉽게 정리돼 있다. 김 원장은 “매년 환자 수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구안와사라는 질환에 대해 더 많은 사람이 이해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대한안면학회 수석부회장으로 활동 중인 김 원장의 실제 치료 사례 및 8명의 단아안한의원 원장들의 이야기는 ‘구안와사 구인구색’ 책을 통해 만나볼 수 있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