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의회 본관과 독도에 ‘평화의 소녀상’을 설치하기 위한 모금활동을 시작했다. 한일 양국이 평화의 소녀상을 놓고 외교적 마찰을 벌이는 상황에서 민간이 아닌 광역의회 차원의 움직임이어서 주목을 끈다.
도의회 의원연구단체인 ‘독도사랑·국토사랑회’(회장 민경선)는 16일 의회 본관 1층 로비에서 ‘경기도의회와 독도 평화의 소녀상 건립 모금을 위한 개시식’을 열었다. 도의회는 이르면 올해 초 상반기에 의회 본관에, 연말까지 독도에 각각 평화의 소녀상을 세우기로 했다.
독도사랑·국토사랑회는 지난해 10월 34명의 도의원을 중심으로 결성된 순수 연구단체다. 2017년을 나라사랑 실천의 해로 정하고, 일본대사관 앞 항의 시위와 광주 나눔의 집 봉사활동, 독도 세미나, 소녀상 건립, 전시회 개최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쳐나간다는 계획이다.
개시식에는 민경선(민주·고양3) 회장을 비롯해 정기열 경기도의회 의장, 김호겸 부의장 등 경기도의원 20여명이 참석했다. 민 의원은 “현재 우리 경기도에만 12개 시에서 시민들의 자발적 성금으로 평화의 소녀상이 건립되었다”며 “이를 통해 역사의식을 일깨워주는 교육의 장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평화의 소녀상은 단순히 위안부 할머니를 추모하는 조각상이 아니라 시대의 혼란속에서 한 소녀가 자신의 꿈과 희망마저 포기해야 했던 우리의 슬픈 자화상”이라 말했다.
이어 “우리의 무관심과 편견으로 지금도 어디선가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분들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자성의 메시지를 주는 상징”이라 강조하며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기열 경기도의장은 축사를 통해 “당이 다르고, 추구하는 가치가 다른 의원님들께서 독도사랑, 국토사랑이라는 뜻을 같이해 활동하는 모습 자체가 매우 큰 의미”라며 “누군가의 꿈과 희망을 앗아간 역사를 혹자는 자신이 선택한 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말도 안되는 파렴치한 행위”라고 일본 정부에 태도를 비판했다.
사무총장을 맡고 있는 안혜영(민주·수원8) 의원은 “부산 일본영사관앞에 설치된 평화의 소녀상을 계기로 한일 위안부 합의의 민낯이 드러났다”고 말하며 “돈을 앞세워 역사 감추기에만 급급한 일본은 지금이라도 역사 앞에 깊은 참회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도의회와 독도에 평화의 소녀상을 건립하기 위해서는 7000만원정도의 제작비용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된다. 독도사랑·국토사랑회에는 의원과 도청 직원, 관심있는 도민을 대상으로 모금활동을 벌일 계획이며, 추후 시·군청 로비 등 공공장소에도 모금함을 설치할 예정이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