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는 16일 특검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하자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도주 우려가 없고 정권의 강압에 의해 이뤄진 자금출연을 문제삼아 그룹 총수에게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것은 납득키 어렵다는 반발기류도 감지됐다.
특검은 이 부회장에게 뇌물공여 등의 혐의를 적용해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이 부회장은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받은 뒤 구속 여부가 결정된다.
재계는 특검이 이 부회장에 적용한 뇌물공여 혐의를 SK, 롯데 등 다른 대기업에도 적용해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것 아니냐고 우려하고 있다. 이번 사태로 대기업 이미지가 크게 훼손되는 것은 물론 반기업 정서가 확대되지 않을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그러면서 정권의 압박을 받아 기업이 반강제적으로 출연한 행위가 뇌물로 인식되는 것은 논리비약이라는 반응이다.
A그룹 관계자는 “특검이 이 부회장에게 뇌물공여 혐의를 적용했는데 이번 사태에서 자유로울 총수가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며 “살아있는 정권의 압박으로 이뤄진 현실을 충분히 감안치 않은 것으로 납득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글로벌 기업인 삼성의 총수가 해외로 도주할 것도 아니고 대내외적 위상이 있는데 혐의가 어느 정도 인정되더라도 이런 식은 너무하는 것 아니냐”며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B그룹 관계자 역시 “삼성이 국내 경제에서 갖는 상징적 의미가 엄청난데 이런 일로 타격을 받아 매우 안타깝다”며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데 삼성이 흔들리면 국내 산업 전반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매우 우려스럽다. 법원이 현명하게 판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재계는 대기업 총수에게 특혜를 줘서도 안되지만 여론 때문에 마녀사냥식 몰아가기를 하는 것도 안된다는 것이다. 특히 명확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은 상황에서 도주나 증거인멸의 우려가 없다면 이 부회장을 불구속 수사하는 것이 합당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C그룹 관계자는 “우리 그룹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안이라 특별한 입장은 없지만 재계 입장에서는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우리나라 기업 특성상 오너의 부재는 경영에 막대한 영향을 준다”며 “오너가 구속되면 그룹이 크게 흔들려 정상적 경영이 불가능하다”고 언급했다.
또다른 관계자는 “외국에선 회장이 구속되면 회사의 방향성이나 경영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며 “해외 비즈니스 영역에서 삼성 이미지가 크게 훼손될 수밖에 없어 상당한 후폭풍이 우려된다”고 말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