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 이불 가운데 일부 제품의 거위털 비율이 53~65%에 그치는 등 기준을 밑돌았다. 이불에 표시된 다운의 양과 실제 다운의 양을 비교한 결과 일부 제품이 표시된 양에 미치지 못해 개선이 필요했다.
한국소비자원은 15일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9개 침구류 브랜드의 ‘다운 이불’ 9종을 대상으로 기능성, 표시·광고 확인, 충전재의 품질, 안전성 등을 시험·평가한 결과를 공개했다.
시험 대상 제품은 까사미아, 님프만, 모던하우스, 박홍근홈패션, 알레르망, 엘르, 이브자리, 자미온, 리베코네트 9개 제품이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폼알데하이드 등 안전성은 전 제품 이상이 없었지만 보온성 및 충전재의 품질이 제품별로 차이가 있었다.
거위털과 오리털의 함량 비율을 실험한 결과 박홍근홈패션, 자미온, 리베코네트 3개 제품의 거위털 비율이 53~65%로 나타나 표시기준에 부적합했다.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에는 거위털 비율 80% 이상 제품만 ‘거위털 제품’으로 표시할 수 있다.
솜털의 함량 확인결과, 리베코네트 제품의 솜털비율이 70%로 표시(80%)대비 낮았다.
까사미아와 알레르망은 다운 중량이 표시치에 미치지 못해 개선이 필요했다.
충전재인 털의 위생성과 유해물질 함유 여부에서는 전 제품이 기준에 적합했다. 이불의 충전재인 털이 밖으로 빠져나오는 정도인 ‘깃솜털투과성’ 시험 결과에서는 전 제품 KS 권장기준을 만족했다.
따뜻한 정도를 평가하는 보온성능 시험 결과에서는 까사미아, 엘르, 이브자리의 보온성이 상대적으로 우수 했다.
오염, 봉제 등 겉모양과 표시사항을 확인한 결과 모던하우스 제품이 봉제가 미흡했다. 리베코네트 제품은 한글 표시가 없어 표시사항이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