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전 6월 항쟁의 시발점이 된 박종철 열사 30주기인 14일 경기 남양주와 서울, 부산에서 대규모 추모행사가 열렸다.
민주열사박종철기념사업회와 6월민주항쟁 30년 사업 추진위원회 등은 이날 오후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미완의 혁명, 촛불로 승리하자!'라는 제목으로 박 열사 30주기 추모대회를 열었다.
대회에는 박 열사 친형 박종부씨와 6월 항쟁 당시 경찰 최루탄에 맞아 숨진 이한열 열사의 모친 배은심씨, 시민사회단체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권태선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공동대표는 "민주주의는 피를 먹고 자란다고 하듯 박종철·이한열 열사처럼 많은 분이 희생했기에 87년 6월 항쟁이 가능했다"며 "촛불 혁명이 완수되는 날까지 함께해야 두 열사도 자신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았다고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박종철기념사업회와 서울대 민주동문회, 서울대 총학생회는 박 열사가 숨진 옛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박종철은 살아있다! - 민주열사 박종철 30주기 추모제'를 개최했다. 이곳은 현재 경찰청 인권센터로 탈바꿈했다.
서울 대회와 비슷한 시각 부산 부산진구 소민아트홀에서도 박 열사의 모교인 혜광고 동문, 유가족과 일반시민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추모제가 열렸다.
기념사업회와 함께 행사를 주최한 부산민주항쟁기념사업회 문정수 이사장은 추도사를 통해 "박 열사가 촉발한 민주주의가 아직 미완성의 과제로 남아있다"며 "박 열사의 뜻을 받들어 법치가 이뤄지고, 함께 잘사는 사회가 이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자"고 제안했다.
박원순 서울시장도 이 자리에 참석해 "지금 촛불을 든 광장이 박종철 열사가 부활한 곳이라고 믿는다"면서 "2017년에는 새로운 정권, 새로운 대한민국이 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전에는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박 열사 유족, 기념사업회 관계자, 서울대 동문과 재학생 등이 박 열사가 잠든 경기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 민주열사 묘역을 찾아 참배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