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중요기록물의 위·변조, 해킹 및 유출 등 위협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보안체계가 마련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원장 이상진)은 12일 오후 대전청사에서 국가기록원 통합보안관제체계 구축사업 완료를 보고하고 ‘국가기록원 사이버안전센터’ 개소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국가기록원 사이버안전센터는 사이버위협 정보를 분석·대응하는 전용 업무공간이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이번 사업을 통해 국가기록원을 목표로 하는 사이버위협 분석, 탐지 및 대응, 침해사고 예방 등의 보안관제 업무가 가능해졌다.
국가사이버안전센터,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매일 매일 최신 사이버위협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돼 선제적 대응 기반도 확보됐다.
더불어 본원 및 서울(성남)·부산·대전기록관 등 소속기관에서 운영하는 서버·네트워크 장애, 과부하, 성능 모니터링 체계를 3D맵으로 구현해 효율적인 운영·관리 능력을 갖추게 됐다.
정보시스템 보안취약점 진단·조치, 사이버위협 모의 대응훈련 실시 등 효과적인 보안관제 업무 지원을 위한 기반도 마련했다.
국가기록원은 약 9900만 건의 국가 중요기록물을 영구 보존·관리하는 기관이라 기록관리 정보시스템을 자체 운영해 왔으나 그동안 개별 보안장비 간 모니터링 및 상호연계 미흡, 정보보안 인력 부족 등으로 통합적 보안 관리에 애로사항이 있었다.
이상진 국가기록원장은 “이번 사이버안전센터 개소를 발판으로 기록관리 정보시스템 보안 관리 능력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것”이라며 “국가 기록관리 전문기관으로서의 신뢰성 및 위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