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손상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감염은 물론 심장혈관, 뇌혈관, 간 등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고 사망률까지 높일 수 있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한 질환이다.
사진) 교수팀이 기존 국제신장학회의 평가 기준인 ‘혈청 크레아티닌 0.3ml/dl 또는 50% 증가’에 못미치는 단계라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수 있고, 특히 ‘혈청 크레아티닌 25~50% 증가’ 수준의 환자들은 기존 평가기준을 엄수할 이유가 없으므로 개정하는 것이 옳다고 미국 공공도서관 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최근호에 보고해 큰 관심을 끌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김 교수팀은 2013년 1년간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한 환자 2만1261명의 진료기록을 바탕으로 혈청 크레아틴 농도에 따라 급성신손상의 위험도를 분석, 평가했다.
그 결과, ‘급성 신손상’ 단계는 이르지 않았지만 ‘급성 신손상 전단계(pre-AKI)’에 해당하는 환자군의 경우 정상적 신장 기능을 가진 환자에 비해 단기 사망 위험도는 약 2.1배, 2년 이상 장기 추적시 사망 위험도는 1.4배나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급성 신손상 전단계 환자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평균 3.7일 더 길었고, 입원비도 약 99만5500원을 더 지불하는 등 급성 신손상 전단계 환자의 신체적・시간적・경제적 손해가 컸다.
김세중 교수는 “그 동안 사용해 왔던 국제신장학회의 급성 신손상 기준은 사실 임의 기준임에도 지나치게 이에 의존해왔던 것 같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그 동안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급성 신손상 전단계’ 환자의 예후가 객관적으로 평가된 만큼, 새로운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