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답보상태에 놓인 수도권 기업 유치에 발 벗고 나선다.
제주도는 경기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수도권 내 IT·BT·ET 업종을 유치대상으로 정하고, 도·LH공사·JDC 간 협업체계를 기반으로 공동 마케팅을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도는 이를 위해 수도권기업이 제주로 이전할 경우 지원우대지역 특례를 적용, 지방투자기업 국가재정자금 지원 및 기업지원 비율을 다른 지역 보다 각각 10% 높게 지원한다.
도는 또 ‘투자유치 촉진 조례’를 개정해 기업 지원기준을 완화함으로써 좋은 기업들이 제주로 이전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조례개정안은 지식서비스 및 신성장 동력산업에 해당하는 이전기업의 경우 기존 상시 고용인원을 20명에서 10명으로 낮춰 건물임차료·시설장비구입비·교육훈련보조금 등을 지원하도록 했다. 정보통신 관련 투자기업에 대한 지원기준도 30명에서 10명으로 조정했다.
도는 지난해 투자유치의 방향을 대규모 관광개발에서 신성장 산업으로 전격 전환하고, KOTRA·주한외국인기업협회 등 여러 유관기관과 네트워크를 구축, 지속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한 바 있다.
그 결과 IT기업·식품제조기업 등과 제주이전 MOU를 체결했지만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이전 기업들이 개별 부지를 확보하지 못하면서 기업유치에 비상이 걸렸다.
도는 산업단지 부족과 주거비 상승 등이 기업유치에 걸림돌이 된다는 판단에 따라 첨단과학기술산업단지 내 옛 모뉴엘 사옥을 올해 상반기 중 리모델링해 수도권 IT기업들을 적극 유치해 나갈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올해 안에 5개 수도권 기업을 유치, 약 30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지역과 투자자가 상생하는 환경을 조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제주=주미령 기자 lalijoo@kmib.co.kr
제주도, 답보상태에 놓인 수도권 기업 유치에 발 벗고 나선다
입력 2017-01-11 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