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선주자도 국정참여”… 他 후보들 ‘부글부글’

입력 2017-01-10 16:12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뉴시스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대통령 당선시 대선주자들도 국정에 참여시키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를 두고 당내 다른 후보들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

문 전 대표를 향해 이미 "대통령이 다 된 것처럼 행동한다"는 비판이 공공연하게 나오던 상황에서, 문 전 대표의 이같은 발언을 계기로 이른바 '비문연대'도 강화될 기류가 감지된다.

문 전 대표는 지난 9일 한 방송 인터뷰에서 "대선주자들과 정권 교체를 하고, 함께 힘을 모아서 국정을 운영하고, 또 더불어민주당 정부가 계속 이어나갈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 나가겠다"며 "다들 좋은 인재들이고, 만약 그들이 이번에 실패한다면 다음 대선주자도 될 수 있어서, 함께 국정에 참여시켜 경험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당내 또다른 주자인 이재명 성남시장, 안희정 충남도지사, 박원순 서울시장, 김부겸 의원 등이 이번 경선에서 탈락하더라도, 향후 한 내각에서 함께 나라 살림을 꾸려나가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여기에는 당내 후보 대부분이 지자체장을 역임, 행정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도 담겨있다.

문 전 대표는 특히 "제가 만약 대통령에 당선된다면 다음 정부는 '문재인 정부'가 아니라 '더불어민주당 정부'가 된다"고 발언, 당내 대선주자를 비롯한 소속 인재들을 위주로 입각시키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그러나 사실 문 전 대표의 이같은 발언은 이른바 '문재인 대세론' 굳히기의 일환이라는 분석이다. '문재인 = 차기 대통령'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문 전 대표의 '섀도캐비닛(예비 내각)' 구상에 힘을 싣기 위한 포석인 셈이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이와 관련, "구체적으로 사람을 인선할 이야기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차기 정부는 인수위원회가 없다는 점에서 선거기간 중에 어떤 원칙 기준으로 내각을 구성할 것인지, 그런 기준에 맞는 후보군에는 어떤 사람들이 있을지 생각한 정도"라고 설명했다.

이어 "누구를 어디에 배치할 지까지 생각한 게 결코 아니다. 그런 건 당과 협의해야 할 문제"라며 "다른 주자들이 다음 내각에서도 선도적인 역할을 해주셨으면 한다는 뜻을 전달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다른 주자들은 '속앓이'를 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미 문 전 대표가 지난해 말 '섀도 캐비닛' 구상을 던진 이후, 정치권에서는 줄곧 문 전 대표와 다른 후보 사이의 연대설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에서다.

이에따라 각 캠프별에서는 자신들을 대선후보가 아닌 내각 구성원 중 한 명으로만 취급했다는 불만이 나타나고 있다. 한편으로는 또 문 전 대표를 비판했다간 또다시 지지자들의 '문자폭탄' 등 역공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감도 감지된다.

자칫 '문재인-군소후보들' 구도가 공고화될 수 있는데다, '권력 나눠먹기'로 비춰질 수 있다는 점에서 발빠르게 여기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대선전략을 짜야 한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당장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패권적 발상"이라고 강력 반발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교체되는 정부는 어느 특정인 누구를 고용하느냐의 문제가 아니다"고 강조했다.

한 캠프 관계자는 "결국 '나는 경험이 있다'는 자신감인데, 다른 후보들도 국회의원이나 지자체장을 하면서 인사, 예산 등을 주도했고, 많은 국정경험을 쌓았다"며 "'내가 키워주면 그걸 밑천 삼아 다음에 해보라'는 것인데 다른 후보들의 의지를 꺾는 발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외교, 국방은 문 전 대표가 우위일 순 있어도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그렇지 않다"며 "문 전 대표가 그런 말을 하니 오히려 참여정부에 대한 비판이 나오지 않느냐"고 문 전 대표를 성토했다.

문 전 대표측 관계자는 이같은 비판에 대해 "실제 대선주자들을 다음 국정운영에서 배제할 수는 없지 않느냐"며 "성공하는 국정운영을 하려면 당이 함께해야 성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피력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