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평화의 소녀상’ 대립은 중국에서도 작지 않은 관심사였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제국주의 일본군의 침공과 만행을 기억하는 중국 여론 역시 한국의 편에서 일본 정부를 비난했다.
중국 관영신문 ‘글로벌타임즈’는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후문에 세워진 평화의 소녀상과 관련한 일본 정부의 대응을 지난 6일 아시아·태평양판을 통해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항의 표시로 주일한국대사를 소환했다. 또 한일 통화스와프 협상 중단, 고위급 경제 협의 연기 등으로 우리 정부를 압박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지난 8일 공영방송 NHK ‘일요토론’에 출연해 “일본은 성실하게 의무를 실행해 10억엔을 이미 지급했다. 한국이 제대로 성의를 보여주지 않으면 안 된다”고 촉구했다. 아베 총리의 이 발언은 우리 여론을 자극했다.
제2차 세계대전을 승전으로 이끌었지만 이 과정에서 난징대학살 등 대규모 인명피해를 입었고, 한국 등 아시아 주변국과 마찬가지로 제국주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속출했던 중국 역시 일본 정부의 태도를 비난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글로벌타임즈 관련 기사 댓글 게시판에 “아베의 거짓말은 일본이 여전히 위안부 문제에 잘못이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꼴(Bi***)” “일본 정부는 언제 진실된 역사를 인정할 것인가. 지금 스스로를 고립하고 있다(Mala***)” “일본의 마음 속에 무엇이 있는지 진심으로 이해할 수 없다. 태평양 연안국가들은 일본이 다시 (제국주의 시절로) 돌아가는 것인지 질문하지 않을 수 없다(01Hum***)”라고 지적했다.
중국 네티즌들의 비난 속에서 진정성을 담아 사과하고 침략의 역사를 반성한 일본 네티즌도 있었다. 한 일본 네티즌(Mic***)은 “우리는 소녀상 철거 반대를 (정부에) 요청해야 한다”며 “소녀상에 일본 대표자의 이름, 잔인한 역사를 반영하는 성실한 메시지를 새기도록 (한국에) 허락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최민우 인턴기자 cmwoo1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