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근본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적용 시점은 올해 중학교 3학년으로 올라가는 학생들이 보는 2021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2020년 겨울 시행)부터다. 문·이과 통합을 시도하는 새 교육과정(2015년 개정)이 처음 적용되는 수능 시험이어서 적지 않은 변화가 예고되긴 했지만 교육 수장이 큰 폭의 변화를 시사해 주목된다. 이르면 오는 5월 윤곽을 드러낼 예정이다.
교육부는 9일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올해 업무계획을 보고하면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연계한 2021학년도 수능 시험 개편방안을 7월까지 마련한다”고 보고했다. 앞서 지난 6일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교육부 출입 기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업무계획 사전 브리핑에서 “수능의 역할이 무엇인가부터 다시 검토해서 대학 입시의 문제인지, 우리 학생의 학력에 관한 문제인지 그런 모든 원천적인 기본적인 문제부터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굉장히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고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결정하겠다”며 구체적 언급은 피했다.
최근 수시 모집과 학교생활기록부 비중이 커지면서 영향력이 감소했지만 수능은 과거 20년간 고교 교육과정 전반을 지배해왔다. 수능이 EBS 교재와 연계되자 EBS 교재가 교과서 이상의 위상을 갖게 된 게 대표적인 예다. 이 부총리의 언급은 이런 수능의 역할과 위상의 변화 가능성을 예고한 것이다.
입시 전문가들은 새 교육과정에 담긴 교육 철학과 대입 안정성 사이에서 절충이 시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새 교육과정은 진로·적성 맞춤형 학습을 강조한다. 국어 영어 수학 국사 통합사회 통합과목 등 6과목을 고교 1학년 때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과목으로 배워 기본 소양을 익히고, 2학년부터 진로·적성에 맞춰 공부한다.
관건은 수능 시험의 범위와 난이도다. 수능 시험 범위가 공통과목에만 한정된다면 사실상 자격고사화 될 수 있다. 영어 절대평가에 따른 풍선효과를 이유로 수학도 절대평가로 전환한다면 수능 영향력은 더욱 감소한다. 만약 공통과목에 더해 일부 선택과목으로까지 범위가 확대되면 새 교육과정 취지가 퇴색한다. 문과생에 과학, 이과생에 사회 과목이 추가된 것이어서 학습 부담이 급격하게 늘어나 진로와 적성 맞춤형 학습이나 융합 학습이 유명무실해질 수 있다. 수능의 영향력이 유지된다면 대입 안정성에는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랍어, 베트남어 로또’ 현상 해소도 어떻게 해결할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정책연구 용역을 진행하면서 수능개선위원회를 통해 개편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 오는 5월에는 초안을 마련해 공청회를 열고 7월에 확정 발표하는 일정을 제시했다. 하지만 교육부 고위 관계자는 “워낙 이해관계가 첨예해 7월에도 결정될지 알 수 없다. 연말에나 결정될 것으로 본다”며 “만약 조기대선이 치러진다면 차기 정부에서 결정하는 것이어서 현재로선 예측 불가”라고 말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교육부, 수능 근본적 변화 예고
입력 2017-01-09 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