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새만금개발청의 '해상풍력단지 조성' 반대

입력 2017-01-06 14:27
전북도가 새만금개발청이 추진하는 ‘새만금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에 대해 반대하고 나섰다. 이로 인해 두 기관의 갈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전북도는 6일 새만금개발청과 새만금해상풍력주식회사와의 ‘해상풍력발전사업' 합의각서(MOA) 체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도는 이날 군산의 한 호텔에서 예정돼 있는 합의각서 체결식에 불참했다.
 
 도는 이날 ‘새만금 해상풍력발전단지에 대한 도의 입장’을 발표하고 “이 단지가 새만금을 글로벌 명품도시로 만들겠다는 개발 방향에 맞지 않고, 궁극적으로 전북에 이익이 안돼 반대한다”고 밝혔다. 특히 사업 시행자에 대한 신뢰성을 지적했다.

 도는 “풍력발전단지는 마스터플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사업으로 명품 새만금 개발에 방해되고 막대한 국가예산(22조원)을 투입하여 개발 중인 새만금에 단순 전력생산 시설인 풍력 발전단지를 설치하는 것은 미래발전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도는 또 “이 사업이 해당 부지를 장기간(최소 30년) 대규모로 점용함에 따라 새만금 부지 매립, 수변공간 활용 등에 제약이 우려된다”고 강조했다.

 도 관계자는 “풍력발전 건설 과정에서 일시적 경제 효과가 있을 수는 있지만 중장기 측면에서 볼 때 조선업 불황 타개를 위한 본질적인 해결이 될 수는 없다”라며 “추진하더라도 전체적인 신재생에너지 투자 계획을 수립해 체계적이고 신중한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또 “해상풍력 승인 이후에 유사 발전시설이 무분별하게 들어올 수 있는 만큼 이를 차단할 대책 또한 사전에 마련돼야 한다”라며 “MOA를 신뢰하게 할 만한 사업계획서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새만금개발청은 5일 모두 4400억원을 들여 새만금 방조제 인근에 해상풍력 발전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지난해 11월 송하진 전북지사는 지지부진한 새만금 사업과 최근 삼성의 새만금 투자 무산 등에 대한 새만금개발청장의 역할이 미진했다며 강도 높게 비판한바 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