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가락은 현대인들이 일상생활을 할 때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신체 부위 중의 하나다. 손가락이 없으면 평범하게 물건을 잡는 것도 불가능하고, 무엇보다도 현대인들의 필수품이 되어 있는 컴퓨터의 키보드나 스마트폰을 터치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손가락을 과도하게 사용할수록 주의해야 하는 질환이 있다. 바로 방아쇠 수지다. 이 질환은 총의 방아쇠를 당길 때와 비슷한 느낌이 손가락을 굽히고 필 때 나타난다고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방아쇠 수지는 대개 특정한 원인을 발견할 수 없는 특발성인 경우가 많으며, 주로 45세 이상의 연령층에 높은 빈도로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온종일 손에서 최근 종일 손에서 스마트폰을 놓지 않고 다니는 젊은 층에도 점점 발생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니 주의해야 할 필요가 있다.
손가락을 반복적으로 과도하게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손가락의 힘줄에 지속적인 마찰이 심하게 가해짐으로써 통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요리사나 운전기사, 환경미화원, 골프 선수, 테니스 선수 등 손을 많이 사용하는 직업의 종사자들 사이에서도 방아쇠 수지 증상을 호소하며 병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손가락을 굽혔다 펼 때 마치 방아쇠를 딸각거리는 마찰음이 들리는 현상이 있고, 통증이 동반된다.
아침에 일어나면 굽혀진 손가락이 완전히 펴지지 않아 반대쪽 손으로 굽혀진 손가락을 펴야 하는데, 너무 심할 때는 손가락이 아예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기도 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손가락의 반복적인 사용은 최대한 피하고, 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중간에 잠시 휴식을 두고 손가락과 손목을 충분히 풀어주는 등의 관리를 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손과 손가락을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도 도움이 된다.
방아쇠 수지라고 생각되는 증상이 수부에 나타난다면 우선 병원을 방문해 진단을 받아보는 편이 좋으며 만약 해당 질환으로 진단을 받았다면 곧바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서울 금천구 서울바른세상병원 최인철 원장은 “방아쇠 수지는 우선 소염진통제 등을 사용하는 약물치료부터 시행한다. 주사요법으로 약 50% 정도에서 영구적인 증상 소실을 기대할 수 있는데, 주사요법을 받았음에도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거나 재발했다면 A1 활차를 절개하는 수술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수술 시, 당뇨가 있는 환자의 경우에는 질환의 형태가 좀 더 넓은 범위에 걸쳐진 경우가 많아 고려해둘 필요가 있다. 또한, 수술 후에는 될 수 있으면 의사의 지도하에 즉시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콘텐츠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