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개혁보수신당 의원은 5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중국을 방문, 사드 문제를 논의한 데 대해 "매우 걱정스러운 매국적 행위"라고 강력 비난했다.
유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창당준비회의에서 "어제 민주당 의원 7명이 그 대단히 뻔한 얘기를 듣기 위해 중국에 가서 사드 반대 입장을 들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10년 전 2007년 유엔 북인권 결의안 표결 당시 마지막 며칠 간 어떤 상황이 있었는지 송민순 장관 회고록에 잘 나와있다"며 "당시 문재인 전 대표는 비서실장으로서 유엔의 북인권 결의안에 대한 입장을 정하는 데 대해 북한에 물어보자 얘기했고 이 문제가 최순실 사태에 덮여 있었다"고 언급했다.
유 의원은 "10년 전 그런 일을 했던, 북한 김정일에게 인권 결의안 표결에 대한 입장을 물어봤던 민주당과 문 전 대표 이 세력이 어제 중국에 가서 사드에 대해 굴욕외교를 하고 왔다"고 힐난했다.
그는 "저는 개인적으로 3년 전부터 주한미국 1개 포대가 아니라 우리 국민 생명 보호를 위해 우리 돈으로 최소 3개 포대를 사야 한다는 주장을 해왔다"며 "당시 우리 정부는 '3NO로 일관, 대통령과 일부 친박은 공개적으로 사드를 반대했지만 전 일관되게 이 입장이었다"고 강조했다.
유 의원은 "중국이 우리에게 압박을 가한다고 해서 우리의 큰 주권, 원칙을 훼손하는 발언들, 그런 굴욕적 외교를 하고 왔다는 자체만으로 이런 세력들에게 국가 안보를 맡기는 건 위험천만한 일"이라며 "이런 외교적 전례를 만들면 앞으로 중국은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우리에게 경제 제재, 돈 문제로 압박을 가해서 우리 주권을 훼손하려 들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또 "사드 문제가 흔들리면 한미동맹과 국가 안보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다"며 "사드는 이미 정부 대 정부로서 합의를 했고, 합의한 이상은 최대한 신속하게 도입하는 것이 맞다"고 요구했다.
정병국 창당준비위원장도 "문 전 대표의 탄핵 기각 시 혁명 발언에 이어 신중치 못한 민주당 의원들의 사드 방중으로 많은 논란이 일어나고 있다"며 "사드 배치는 북한의 잇따른 핵과 미사일 실험에 대처하기 위한 자구노력으로 절박한 안보 위기 속에서 이뤄진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 위원장은 "중국이 북핵 문제 해결에 역할을 다했더라면 사드 배치가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라며 "사드는 북한을 겨냥한 것인데 우리나라에 일관된 경제제재를 하며 사드 철회를 압박하는 것은 온당치 못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사드배치, 북핵문제 대응방안을 두고 트럼프와 중국이 대립 양상을 연출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가 취해야 할 외교원칙은 든든한 한미동맹 바탕 위에서 한중관계의 지혜로운 출구를 모색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