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치매 환자의 3대 특징으로 손꼽히는 저학력과 문맹, 고령이 실제 치매 발생과 의료비 지출에 미치는 기여위험도를 평가, 국제 학술지에 보고해 주목을 받고 있다.
사진) 교수 연구팀은 치매 환자 중 문맹의 기여위험분율(PAF)을 근거로 향후 35년 뒤 치매 예방 및 치매 비용 경감 효과를 분석, 평가해 국제 학술지에 보고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결과 우리나라는 65세 미만 연령층에서 문맹인구를 없앨 경우 2050년까지 문맹에 의한 치매 발생 위험이 1.62%선까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따라 치매관리비용도 약 60조원 정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됐다. 2015년 기준 문맹에 의한 국내 치매 인구는 전체 치매 환자의 약 16%로 평가됐다.
문맹률이 높은 라틴아메리카, 중동 및 서남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경우에는 문맹으로 인한 치매 발생 위험이 5~7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혈압, 당뇨, 비만, 우울증, 저학력 등에 의한 치매 발생 위험이 3~20%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후진국의 경우 문맹 퇴치가 치매 극복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김기웅 교수는 “치매 치료제의 효과가 아직은 보존적인 수준이기 때문에, 치료 못지않게 발병 자체를 억제하는 예방 전력이 치매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며, “문맹의 기여위험율과 문맹 퇴치 시 기대할 수 있는 치매관리비용 절감 효과가 상당히 크다는 것을 확인한 만큼, 문맹자에 대한 구체적인 문자 교육 정책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 치매 환자 수는 이미 61만 명을 넘어 2025년에는 100만, 2043년에는 2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현 추세대로라면 불과 30년 뒤에는 다섯 집마다 한명씩 치매 환자가 나타나는 셈인데, 치매는 더 이상 환자 개인과 환자 가족만의 문제가 아닌 국가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연구결과는 알츠하이머 치매 관련 국제 학술지 '저널 오브 알츠하이머스 디지즈(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