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목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회장은 1일 신년사를 통해 “77개 시·군·구 사회복지협의회 조직을 조속히 결성해 사회복지협의회가 해당 지역의 민간복지부문과 공공부문을 연계하는 매개체가 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특히 서회장은 “지역사회복지협의회는 지역의 사회복지 현안을 발굴하여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재정 및 인적자원을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함께 마련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사회복지협의회의 지방조직 강화는 시대적 대세”라며 “‘복지행정의 지방화’는 국민들의 복지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서 회장은 또 “사회복지협의회가 사회복지인들의 친목단체 차원을 넘어 지역사회복지 문제를 발굴하고, 필요한 자원을 조달해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사회복지 실천기관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언급했다.
앞서 정부는 보건사회부를 보건복지부로 변경하는 것을 계기로 1995년을 ‘선진복지 원년’으로 선포하고, 그해 말 정부 차원의 복지청사진을 처음으로 만들어 추진했다.
서 회장은 ”20여년이 지난 지금 우리나라 사회복지는 양적으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뤘다”며 “복지예산 역시 130조원에 달해 정부예산의 30%를 상회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국민들이 피부로 느끼는 복지 수준은 양적 성장에 크게 못 미친다는 점이다.
서 회장은 “국민들에게 복지서비스를 전달하는 많은 ‘톱니바퀴’가 있으나적재적소에 연결되어있지 않아 사회복지라는 ‘시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고 진단했다.
서 회장은 “2015년 ‘사회보장급여법’이 통과되면서 공공부문의 전달체계는 시·군·구 사회보장협의체와 읍·면·동 ‘복지허브화’ 사업을 중심으로 그 골격이 갖춰졌음에도 현장에서 주로 복지서비스를 전달하고 있는 민간복지부문의 역할은 아직도 불명확한 상태”라고 아쉬워했다.
서 회장은 “금년부터는 ‘한국형복지모델’을 개발도상국들에게 전수하고, 복지선진국들과 활발한 교류를 통해 우리나라 복지수준을 높여나가야 한다”며 “정유년 새해가 전달체계의 확립, 복지행정의 지방화와 세계화를 통해 한국사회복지계가 ‘제2의 도약’을 하는 원년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