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종로구의 한 카페. 배우 변요한(30)과의 첫 만남이었다. 그는 의아하리만치 긴장해있었다. 초반엔 시선도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쑥스러워했다. 어떤 질문을 건네도 몇 초간 뜸을 들이며 신중히 답을 골랐다. 독립영화계를 주름잡았던 그가 아닌가. 영화를 처음 찍어본 신인도 아닌데, 대체 왜?
“저도 제가 되게 유쾌한 줄 알았거든요? 근데 아, 이게 맞는 건지 모르겠지만…. 초면에는 일단 진지해야하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그게 예의인 거 같고요. 진심으로 대답하느라 시간이 좀 걸려요. 최대한 진실하게 얘기하려고 노력하는 편이거든요.”
‘왜 그렇게 조심스러워하느냐’는 말에 변요한은 자신의 솔직한 생각을 들려줬다. 그제야 그가 어떤 사람인지 조금 알 것 같았다. 이런 진솔함은 그의 첫 상업영화 주연작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에서 연기한 수현과 닮은 부분이기도 했다.
영화는 중년의 소아외과 의사 수현(김윤석)이 과거로 돌아갈 수 있는 10개의 알약을 우연히 얻게 된 뒤 30년 전 자신(변요한)을 만나며 벌어지는 이야기다. 수현이 위험을 무릅쓰고 시간여행을 떠나는 이유는 단 하나, 자신의 실수로 놓쳐버린 첫사랑(채서진)을 지켜내기 위해서다.
tvN ‘미생’의 천방지축 한석률, tvN ‘구여친클럽’의 로맨틱가이 방명수, SBS ‘육룡이 나르샤’의 고독남 이방지와는 또 다른 색깔의 인물이다. 변요한은 똑같은 연기를 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의외성을 만들지 못하는 배우는 “멋이 없는 것 같다”는 게 그의 말이다. 이 역시 굉장히 신중하게 얘기했는데, 그때의 눈빛은 아주 확고했다.
-‘당신, 거기 있어줄래요’ 촬영을 끝냈을 때 소감은 어땠나.
“되게 후련했던 것 같아요. 작품 하는 동안 최대한 집중해서 진심으로 연기하려고 했었거든요. 이미 물은 엎질러졌고, 후련하게 놀자는 생각이었죠(웃음).”
-완성본을 보고 나니 어떻던가.
“사실 영화 볼 때 집중을 잘 못했어요. 한 번 더 봐야 할 것 같아요. 근데 감독님이랑 미팅했을 때가 생각나더라고요. 별 말씀은 없으셨는데 확신이 들었어요. 이 작품을 손댈 수 있는 사람은 홍지영 감독님밖에 없다고요.”
-왜 그런 생각이 들었을까?
“전 원래 말보다 행동으로 보여주는 걸 좋아해요. 감독님도 그런 편이시더라고요. 좋은 기운이 느껴졌어요. 그리고 글(시나리오)이 너무 좋았어요. 되게 섬세하시다는 느낌이 들었죠. 본질적인 걸 관통하신 부분이 있어서 ‘우와’ 하면서 읽었던 기억이 나요.”
-변요한이 봤던 그 본질은 뭔가.
“이 영화에는 부성애, 우정, 반려견과의 관계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있어요. 그 중 저는 한수현의 본질을 보고 싶더라고요. ‘30년 후의 수현이 왜 나한테 찾아왔을까. 연아가 대체 어떤 존재이기에.’ 이런 질문들을 마인드맵처럼 타고 타고 들어가 보니 결국 사랑이더라고요.”
-애초 이 작품에 끌렸던 이유는 뭐였나.
“군대에 있을 때 원작 소설을 처음 읽었거든요. 되게 신선했다는 느낌을 받았었어요. 그리고 시간이 흐른 뒤 저에게 이 시나리오가 들어온 거예요. 운명 같다는 느낌을 받았죠. ‘내가 할 수 있을까?’ 두렵기도 했지만 작품의 메시지를 잘 전달해내고 싶었어요. 사랑, 있을 때 잘하자는 소중함, 그런 것들을요.”
-김윤석과의 호흡이 자연스럽게 어울렸다. 김윤석이 말하길 두 사람 모두 즉흥적으로 연기하는 스타일이라 잘 맞았다던데.
“저는 사실 즉흥적이진 않아요. 정말 많은 시뮬레이션과 이미지 트레이닝을 거쳐요. 하지만 현장에 가면 많은 변수가 있고 내가 생각한 대로 되지 않잖아요. 그럴 때 결국 내려놓고 진심으로 행동하죠. 즉흥적이라기보다 (김윤석) 선배님 품에서 솔직하게 놀고 싶었어요. 그만큼 선배님이 마음을 열어주셔서 제가 자연스럽게 스며들었던 것 같아요.”
-정통 멜로는 처음이다.
“네. ‘구여친 클럽’에서 로맨틱 코미디는 해봤는데 정통 멜로는 처음이었죠.”
-12세 관람가인데 애정신 수위가 좀 세더라.
“제가 봐도 세더라고요(웃음). 작품에 임할 때는 그 러브신을 반드시 아름답게 표현하고 싶었어요. 그만큼 깊이 사랑하는 관계여야 했던 거죠. 30년 후 수현이 과거로 오려면 그렇게 아름다운 기억, 절대 잊을 수 없는 순간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실제 변요한도 로맨틱한 편인가.
“남자들한테 좀 로맨틱한 것 같아요(웃음). 주변에 남자들만 드글드글해서. 남자들하고 진중한 대화를 하면서 간지러운 얘기도 많이 하는 것 같아요.”
-하긴 친한 배우 친구들 무리도 있지 않나. 일명 ‘변요한 사단’이라고.
“그게, 갑자기 ‘변요한 사단’이라고 나와서 좀 미안했어요. 사단이라고 해서 진짜 사달 날 뻔했어요(웃음). 심지어 저는 딱 중간 나이고요. 항상 힘들 때마다 노선이 돼주는 형들이 있어요. 저희는 그런 거 없이 진짜 좋은 친구예요. 힘들 때 같이 힘들어 해주고 슬플 때 가장 힘들어해주는. 정말 좋은 친구들.”
-연기를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는 뭐였나.
“제가 8살 때까지 말을 더듬었어요. 나중에 알고 보니 성격이 급해서 그런 거였다던데, 아버지는 제가 내성적인 줄 아셨던 거죠. 아버지 지인 분 극단 단장님이셨는데, 성격 개선 목적으로 ‘연기 한 번 해볼래?’ 하신 거예요. 그게 중학교 때 였어요. 막상 해보니 너무 재미있었고, 그 이후로 쭉 배우로 (살아온 거죠).”
-요즘 연기에 대한 고민이 많다고 들었다.
“많아요. 근데 늘 똑같았던 거 같아요. 지금은 고민이 많아도 표현을 잘 하지 않는 편이죠. 예전에는 겉으로 많이 드러냈었거든요. 친구들이랑 술 마실 때도 ‘이거 어떻게 생각해?’ ‘너라면 어떻게 할래?’ 묻곤 했죠. 지금은 나만의 해결법을 찾고 혼자 버티는 법을 배우고 있어요. 외로워도 외로운 티 안 내고요.”
-다른 인터뷰에서 ‘배우를 언제까지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는 말도 했더라. 이유가 뭔가.
“(배우라는 게) 자기가 원한다고 계속 할 수 있는 게 아닌 것 같아요. 이러다가 언제 없어질지 모르는 거죠(웃음). 하고 싶어도 못하는 순간이 올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제 밑천이 드러날 수도 있는 거고요. ‘얘는 안 봐도 비디오네’라는 소리를 듣지 않기 위해 계속 고민하는 것 같아요. 끊임없이 의외성을 만들어드리고 싶어요. 그게 안 되면 제 스스로 안 하고 싶어요. 자격이 없다고 생각하거든요. 억지로 계속 하는 건,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멋없는 것 같아요.”
-분명 그렇게 되지 않을 것 같다.
“그렇게 되지 않도록 노력해야죠.”
-30년 뒤 배우 변요한의 모습을 그려본다면.
“제 희망사항인데, 좋은 가장이자 좋은 배우가 되고 싶어요. 좋은 배우라는 수식어가 뒤로 갔으면 좋겠어요. 좋은 남편이 먼저 돼서 화목하게 살았으면 해요. 힘들면 기댈 수 있는 친구 같은 와이프랑 같이 아기 낳고 살고 싶어요.”
-지금은 그런 미래를 함께 그리는 사람이 없나.
“네, 뭐 아직은(웃음). 근데 결혼은 빨리 하고 싶어요.”
-안정적인 걸 꿈꾸나 보다.
“네. 자연스러운 순리대로 사는 걸 좋아하는 것 같아요.”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