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하지말고 없애라” 가임기 여성 지도, ‘공지문’도 논란

입력 2016-12-30 15:17 수정 2016-12-30 15:29

하루 만에 ‘가임기 여성 지도’ 서비스를 중단한 행정자치부가 ‘공지문’을 내놨다. 사과문이 아니라는 것도 문제지만 이마저도 한 차례 수정되면서 네티즌들의 분노에 기름을 붓고 있다.

행자부는 29일 오후 마비 상태였던 ‘대한민국 출산지도(birth.korea.go.kr)’ 홈페이지에 공지문을 띄웠다.

행자부는 “대한민국 출산지도는 국민에게 지역별 출산통계를 알리고 지역별로 출산 관련 지원 혜택이 무엇이 있는지 알리기 위해 제작한 것으로 언급된 용어나 주요 통계 내용은 통계청 자료를 활용했다”며 “여러분의 의견을 반영해 더 좋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현재 홈페이지는 수정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30일에도 확인할 수 있는 이 공지문에는 본래 한 문장이 더 있었다. “정부와 지자체가 여성들에게 더 많은 혜택과 지원을 드릴 수 있도록 제공한 정보의 일부로 인해 논란이 일어 마음이 아프다”라는 대목이다. 행자부가 한 차례 공지문을 수정하면서 문장을 삭제한 것이다.

네티즌들은 “대체 뭐가 문제인지 모르고 있다”며 사과 한 마디 없는 정부에 거센 비난을 쏟아냈다. “수정이 아니라 예상 낭비 하지말고 없애라” “끝까지 자신들이 무슨 잘못을 했는지 모른다” “공지문이 아닌 반성문을 올려라” 등의 질타가 이어졌다.

한 네티즌은 “인구의 반을 차지하는 여성 집단을 ‘애 낳는 기계’로 취급하고, ‘내 맘도 모르고 너무해’ 식의 말도 안 되는 변명이나 늘어놓았다”고 지적했다.

행자부는 지난 28일 ‘243개 모든 지자체의 출산통계와 출산지원 서비스를 국민들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겠다며 출산지도 홈페이지를 열었다. 여기에 20~44세 가임기 여성 인구수를 지자체별로 보여주는 ‘가임기 여성 지도’가 포함돼 논란이 일었다.


네티즌들은 “여성을 가축 취급한다” “저출산의 원인을 여성에게 덮어씌우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저출산의 근본적인 문제는 외면하고 ‘여성이 임신만 하면 된다’는 식의 발상에 경악했다는 의견이 줄을 이었다. 출산지도 홈페이지가 접속 폭주로 마비되면서 행자부는 서비스를 일시 중단했다.

박상은 기자 pse021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