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은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연속성 있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느냐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에 대해선 “국민 생명 안위와 직결되는 사안”이라며 예정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황 권한대행은 29일 서울 종로구 한 식당에서 두 번째 기자간담회를 갖고 “(위안부 합의는) 국가 합의라는 점을 생각 안 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발언했다. 그는 “일본이 처음으로 일본 정부에 책임을 인정하고 군의 관여 문제가 있다고 인정했다”며 “10억엔은 많고 적고의 문제가 아니라 사죄에 대한 이행조치로 보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졸속 합의’라는 비판과 관련해선 “합의하고 1년이 지났는데 할머니 일곱 분이 돌아가셨다. 언제까지 합의를 끌어야겠느냐” “더 좋은 합의는 어떤 거죠”라며 반문했다. 황 권한대행은 “우리 마음에 100% 드는 합의를 했으면 좋았겠고, 그게 목표였지만 한 해 한 해 할머니들이 돌아가시고 일본의 변화는 쉽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가 무능해서 그런데 그래도 핵심적인 부분은 그렇게 정리가 됐다”고 덧붙였다. 총리실은 간담회 후 “무능해서”라는 언급은 “정부가 당시에 모든 것을 잘 할 수 없었다”는 의미라고 해명했다.
재협상 가능성도 낮다고 평가했다. 황 권한대행은 “‘다시 협상해 달라’해서 일본이 응하지도 않을테고, (할머니들이) 어떻게든 명예 회복이 인정되고 그런 것을 느끼면서 여생이 지나가도록 하는 게 필요하지 않나”라고 되물었다.
대선 출마 가능성과 관련한 질문에 황 권한대행은 “모두 다 말했다. 다 말씀드린 걸 또 뭘 말씀드리냐”고 답했다. 지난 27일 1차 기자간담회에서 황 권한대행은 “(권한대행이) 끝나고 나면 미래를 위한 노력을 할 것”이라고 말해 대선 도전 가능성을 열어놨다는 해석이 나왔다. 황 권한대행은 “미래를 위해 일한다는 건 아무 일도 안 할 수 없는 것 아닌가. 변호사를 하든 봉사활동을 하든 뭘 해야 하는데 방향이 미래를 위한 일을 해보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자들이 재차 확답을 요구하자 “명확하게 이야기 다 했다. 국회에서도 몇 번 이야기했다”고 일축했다. 그는 지난 20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대선 출마 계획이나 고려가 있느냐’는 질문에 “전혀 없다”고 답한 바 있다.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임기 문제와 관련해서는 대정부질문 때와 같은 입장을 나타냈다. 황 권한대행은 “헌재소장 된 때부터 6년 임기인데 많이 남아있다. 다만 본인은 그 전에 재판관이 됐다. 그때로부터 따지면 내년 1월이 임기다. 그건 본인이 판단할 문제다”고 설명했다. 현재 헌법재판관의 임기는 6년이지만 헌재소장에 대한 임기는 별도로 규정돼있지 않아 논란이 돼왔다. 하지만 박한철 소장은 지난 2013년 4월 인사청문회 당시 자신의 임기가 잔여임기라고 답한 바 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황교안 권한대행 “위안부 합의 연속성 있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
입력 2016-12-29 16:28 수정 2016-12-29 1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