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감들, 교육부의 국검정 교과서 혼용 방침에 엇갈린 반응

입력 2016-12-27 23:10
교육부의 국·검정 교과서 혼용 방침에 대해 시·도 교육감들은 입장이 엇갈렸다. 진보 성향의 대다수 교육감들은 꼼수라며 국정교과서 완전 폐지를 주장했지만 보수 성향의 교육감은 혼용 방침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은 27일 “교육부의 1년 유예 발표는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유예 계획 자체를 폐기해야 한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 뜻에 반하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으로 학교현장과 학생들에게 혼란을 준 교육부는 관련자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하며, 국민과 학생들에게 사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장휘국 광주광역시교육감은 “1년 유예는 꼼수로 받아들일 수 없다”며 “친일 독재를 미화하는 국정교과서가 광주지역 학교 현장에는 한 곳도 발붙이지 못하도록 모든 역량을 다해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충북도교육청도 당초 국정 역사교과서를 주문했던 도내 50개 고등학교에 주문 취소를 요청하는 서한문을 발송했다.

민병희 강원도교육감은 국정교과서를 희망하는 학교를 연구학교로 지정하겠다는 교육부의 계획에 대해 “그런 궤변이 어디 있느냐, 협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김승환 전북도교육감은 “누더기식 발표다. 그만두겠다는 것인지 미련을 갖고 추진하겠다는 것인지 명확하지가 않다”고 비판했다. 제주도교육청은 “국정교과서는 ‘1년 유예’가 아닌 ‘폐지’가 정답”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대구시교육청은 교육부의 국정교과서 1년 유예 결정에 대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동기 대구시교육감은 “1년 유예 후 국·검정 혼용하게 됐으니 일선 학교에서 더 좋은 교과서를 선택하면 된다”며 국·검정 혼용에 대해 수용 의사를 내비쳤다. 그는 “교과 선택권이 있는 학교에서 국·검정 교과서를 보고 선택하면 될 것”이라며 “교육청은 교육부가 정한 방침을 따를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수원=강희청 기자, 전국종합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