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복지재단 내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가 시행하고 있는 채무조정 서비스가 경제적 취약계층의 채무부담 완화에 도움이 되는 추적조사 결과가 나왔다. 서비스 이용자 10명 중 9명은 이전보다 삶의 질이 나아지고 자존감이 향상됐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는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가 채무조정 서비스 이용자 1079명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한 결과, 채무조정지원 이후 무직자 비율이 80.02%에서 71.39%로 8.63%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채무조정 서비스가 이용자들의 경제활동 확대에 기여한 사실이 당사자 조사에서 확인된 것이다.
센터가 진행하고 있는 채무조정 서비스는 과다한 가계부채로 고통 받는 시민에게 금융 상담을 제공하고 필요할 경우 파산면책·개인회생·워크아웃 등의 채무조정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 현재 개인파산절차를 통해 면책이 완료됐거나 개인회생절차 인가를 받은 1079명 중 설문에 응한 811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를 이용한 전화조사원 설문지 기입방법을 통해 실시했다.
채무조정 이후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직업은 일용직 등 단순 노무직이 4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서비스 종사자(18.1%), 판매 종사자(7.7%),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7.3%), 사무직(6.9%) 등의 순이었다.
경제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이들의 주당 평균 근로일수는 4.79일, 월평균 소득은 104만원이었다.
채무조정 이후 다시 대출을 받은 채무자는 1.7%였고 이들이 채무조정 이후 다시 대출을 받기까지 걸린 기간은 8.95개월이었다. 이들의 평균 채무액은 1378만원이었으며 다시 대출을 받은 이유는 다수가 ‘생활비 부족’을 꼽았다.
채무조정을 마친 후 ‘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고 응답한 이용자는 33.2%였다. 그러나 생활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는 응답자도 많았다. 이들은 어려운 항목으로 생활비(42.0%), 주거비(20.5%), 의료비(17.5%, 이상 복수응답) 등을 꼽았다.
이용자의 64.6%는 ‘채무조정지원이 없었다면 채권추심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했을 것’이라고 응답했다. 30명은 ‘채무조정지원을 받지 못했다면 자살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서비스 이용자의 91.6%는 채무조정지원 이후 ‘이전보다 삶의 질이 나아졌다’고 밝혔고 89.5%는 ‘자존감이 향상됐다’고 응답했다.
오문준 금융복지상담센터 연구책임자는 “채무조정이 취약계층의 채무부담을 완화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채무조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면서 “이들이 사회경제적으로 새출발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
채무조정 서비스 이용자 약 90%, “삶의 질과 자존감 향상에 도움”
입력 2016-12-27 1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