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왼쪽부터)은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신장이식수술을 받은 신부전 환자 174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비타민 D 농도와 이식 후 급성거부반응 및 감염, 골다공증 등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7일 밝혔다.
일반적으로 비타민 D는 골다공증 치료에 사용되며, 부족하게 되면 대사성 뼈 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뼈 생성 뿐 아니라 암, 감염질환, 인지기능장애, 당뇨, 고지혈증, 면역질환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장 질환에서도 마찬가지다. 비타민D 결핍은 만성 신부전 환자의 대사성 골 질환 등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로 지적된다.
연구결과, 신부전 환자들은 이식 전 대부분(98.2%) 비타민D 부족 현상이 발견됐다. 이에 따라 양 교수팀은 전체 환자를 혈중 비타민D 농도에 따라 3그룹으로 나누고 이식 후 급성거부반응 위험도를 비교 평가했다.
3그룹은 저농도 그룹 59명(8.3 ng/ml 미만), 중간농도 그룹 57명(8.3 ng/ml 이상~12.1 ng/ml 미만), 고농도 그룹 58명(12.1 ng/ml 이상)으로 구분했다.
이식 전 비타민 D 농도에 따른 이식 후 1년 이내 급성거부반응 발생율은 저농도 그룹 25.4%, 중간농도 그룹 17.5%, 고농도 그룹 8.6%로 이식 전 비타민 D 부족이 심한 상태일수록 이식 후 1년 이내 급성거부반응을 겪을 확률이 최고 3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그림 참조) 반면 감염이나 골다공증 발생 정도는 세 그룹 사이에 별 차이가 없었다.
급성거부반응은 일반적으로 무증상이지만, 방치하면 이식신장의 기능소실과 연관되어 이식 후 조기에 식욕부진, 소변량 감소, 부종, 호흡곤란 등 신장 기능 저하에 따른 요독과 관련된 증상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급성거부반응이 잘 발생하는 이식 후 초기에 의심이 된다면 이식신장 조직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권장된다.
연구결과는 장기이식 분야 국제 학술지 ‘트랜스플란트 이뮤놀로지(Transplant Immunology)’ 인터넷판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