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확보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조윤선 문체부 장관은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 시절 문제의 블랙리스트 작성을 지시한 혐의을 받고 있다.
매일경제는 특검팀이 문화체육관광부 등의 압수수색에서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확보했다고 27일 보도했다.
앞서 조 장관은 리스트 존재 여부에 대해 존재하지 않는다"고 부인했었다. 때문에 조 장관에 대한 위증과 증거 인멸 의혹이 조사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는다.
SBS는 또 26일 오후 조윤선이 문체부 관계자를 시켜 서울 서계동 집무실에 있는 자신의 컴퓨터 교체를 지시했다고 이날 보도했다. 문체부는 또 ‘블랙리스트’ 관련 작업을 했던 문체부 예술정책국 예술정책과의 컴퓨터 2대 하드디스크를 지난달 초 교체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이 같은 보도에 문광부는 “조윤선 장관이 본 적도 없는 자료”라고 해명했다. 증거를 인멸하기 위해 장관실 하드디스크를 교체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새 장관의 부임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유진룡 전 문체부 장관이 라디오 방송을 통해 퇴임 직전 리스트를 목격했다고 증언했다. 리스트 작성과 압력의 배후로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조윤선 문체부 장관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한편 문화계 블랙리스트는 현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계 인사 9473명의 이름이 적힌 문서다. 세월호 참사 관련 서명·시국선언 참여 인사나 문재인 대선후보·박원순 서울시장 지지 선언자들의 명단으로 알려졌다.
명단에는 송강호·김혜수씨 등이 이름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계에서는 정부 관련 인선이나 지원 배제 등을 위해 작성됐다는 의심을 하고 있다.
천금주 기자 juju7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