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과 함께 활동한 이력이 있으면 '블랙리스트' 명단에 "턱!"

입력 2016-12-27 01:27 수정 2016-12-27 02:16

박근혜 정부의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의 실체가 공개됐다.

SBS는 26일 문화체육관광부 블랙리스트 문건을 입수해 공개했다. 블랙리스트 문건에는 교수나 시인, 안무가 등 예술계 인사 48명과 영화사나 극단 등 43개 단체 등 91개의 이름이 등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도에 따르면 명단 옆에는 블랙리스트에 오른 이유도 자세히 명시돼있다. 문재인. 안철수, 박원순 등 야당 정치인 지지 선언에 이름을 올렸다는 이유가 가장 많이 등장한다. 이들과 공동으로 책을 내는 등 조금이라도 함께 활동한 이력이 있으면 명단에 올랐다.




사회적인 이슈에 의견을 표현한 행위도 검증 대상이었다. 비정규직 노동자 시위를 지지한다거나, 쌍용자동차 국정조사 촉구 운동에 참여했다는 사실만으로 블랙리스트에 포함됐다.

문체부 산하 정부 위원회나 문제부 사업을 심사하는 외부 위원들에 대한 별도의 블랙리스트도 작성됐다.또한 서울대와 연세대 교수 등 모두 14명이 용산 참사 해결이나 이명박 정부 규탄과 관련한 시국선언에 참여했다는 이유로 명단에 올랐으며 경향신문과 한겨레, 한국일보 등 언론사 7곳은 '좌파 성향'으로 분류돼 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는 현 정부에 비판적인 문화계 인사 9473명의 이름이 적힌 문서다. 세월호 참사 관련 서명·시국선언 참여 인사나 문재인 대선후보·박원순 서울시장 지지 선언자들의 명단으로 알려졌다.

한편 유진룡 전 문화체육부 장관도 26일 CBS 라디오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에 출연해 “퇴임 전 ‘문화계 블랙리스트’를 직접 봤다"고 밝혔다. 이어 유 전 장관은 블랙리스트는 정무수석실에서 만든 것이라고 강조하며 배후의 인물로 김기춘 전 비서실장과 조윤선 장관을 지목했다.

한편 문화체육관광부는 26일 '문체부 블랙리스트'와 관련된 해명자료를 내고 "조윤선 문체부 장관은 본 적 없는 자료"라며 "문체부는 블랙리스트를 관리하고 있지 않다"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또한 '조 장관이 서울 용산구 서계동 문체부 서울사무소 내 장관 집무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를 교체해 증거를 인멸한 정황이 있다'는 의혹 보도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문화계 블랙리스트 의혹의 실체가 드러나면서 적지 않은 파장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네티즌들은 “이럴 줄 알았다”는 반응이다. “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올라있는 한 사람이다”고 밝힌 한 네티즌은 “블랙리스트에 이름 올라와 있다는 사실이 올바르게 살아왔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해 많은 네티즌들의 공감을 받았다.
















박효진 기자 imher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