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가 전국적으로 퍼지는 가운데 가금류 살처분 방식의 생매장 규모가 2600만 마리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록적인 수치의 가금류 살처분 생매장에 관련 시민단체들은 분노어린 목소리를 내고 있다.
26일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날 0시를 기준으로 확진됐거나 예방적 살처분의 조치로 생매장 처분된 가금류가 2597만 8000수라고 발표했다. AI 발생 40여 일 만이다. 이 속도라면 며칠 안에 2600만 마리가 살처분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지난 21일 조류독감 살처분 공동대책위원회는 가금류 살처분의 생매장 방식을 중단하고 농림축산식품부에 업무지침에 따른 인도적인 처리를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AI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인 공장식 축산에 대해 침묵하고 애꿎은 야생 철새 탓으로 돌리고 있는 정부를 규탄했다.
‘AI 살처분의 생매장 방식은 동물복지에도 심각하게 위배될 뿐 아니라 혈액, 깃털, 먼지를 발생시켜 엄청난 바이러스를 확산시킨다’며 생매장을 시행할 이유가 없다고도 밝혔다. '그동안 동물보호단체들의 각고의 노력으로 구제역 살처분 방식은 생매장으로 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나 AI 에 대한 살처분 방식은 여전히 생매장'이라고도 덧붙였다.
또한 ‘2003년 국내에서 AI가 처음 발생한 이후 2006년, 2008년, 2010년까지는 2-3년 주기로 발생하였고 2014년 이후로는 매년 발생하고 있다’면서 ‘바이러스 발생 원인규명과 바이러스 차단에 집중했던 정부의 방역대책은 실패했으며, 공장식 사육 폐지 및 사육환경 개선과 법과 지침에 맞는 안락사 대책으로 전환해야 함을 뜻한다’고 말했다.
'공장식 밀집사육은 각종 세균과 AI 바이러스의 창고역할'을 하며 'AI 바이러스의 발생 및 변이를 일으켜 소독과 방역만으로 100% 통제 관리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이 대책위의 설명이다.
같은 날, 종로에서는 ‘AI로 생매장된 2000만 생명을 위한 위령제’가 종로 보신각에서 열렸다. 예술가와 동물보호단체 활동가, 시민들이 비인도적인 축산환경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내고 희생된 동물들을 위한 퍼포먼스를 펼쳤다.
이채은 대학생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