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병우(49) 전 청와대 민정수석과 이석수(53) 특별감찰관의 비위 의혹을 수사한 검찰 특별수사팀(팀장 윤갑근 대구고검장)이 출범 4개월만에 해산한다.
지난 8월 23일 출범한 특수팀은 수사결과 발표 없이 파견된 인원을 복귀시키는 것으로 수사팀을 해산하기로 했다. 고소·고발 등 매듭짓지 못한 사건은 서울중앙지검에서 계속 수사할 계획이다.
윤갑근 팀장은 26일 브리핑을 통해 “우 전 수석과 이 전 특별감찰관 관련 수사는 서울중앙지검에서 계속 수사한다”며 “외부에서 파견 온 수사팀 인원은 소속 청으로 복귀한다”고 밝혔다.
이어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에서 여러 고발사건 수사와 특검 수사 진행상황을 고려해 처리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여러 사안 중 일부가 마무리됐고, 일부는 당사자 당사자 비협조로 거의 안 된 상황 등을 고려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수사결과 발표 없이 해산하는 것을 두고 ‘초라한 성적표’라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는 우려에는 “어쩔 수 없는 상황이어서 그런 평가를 받아도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지금까지 수사한 내용은 철저히 그리고 열심히 했다고 말씀드린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사건이 추가 발생했고 특히 특검이 출범해 부득이하게 이런 결정을 내렸다”며 “우리가 수사한 내용이 봉인돼 비밀창고에 들어가는 게 아니고 밝혀질 것이다. 시기의 문제”라고 덧붙였다.
이 전 특별감찰관은 지난 8월 18일 우 전 수석을 직권남용과 횡령 혐의 등으로 검찰에 수사의뢰했다.
이 전 특별감찰관은 우 전 수석 아들의 군부대 특혜 인사발령에 직권남용 혐의를 적용하고 우 전 수석의 가족회사 정강과 관련해 횡령 혐의를 적용했다.
이 전 특별감찰관은 감찰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감찰 내용을 특정 언론사에 유출했다는 의혹을 받고 시민단체로부터 고발됐다.
검찰은 지난 8월 23일 윤 대구고검장을 팀장으로 하는 특별수사팀을 서울중앙지검에 꾸리고 수사에 착수했다.
특별수사팀은 수사 의뢰 건뿐만 아니라 우 전 수석을 상대로 제기된 의혹을 전방위로 확인했다.
의혹에는 우 전 수석 처가의 강남땅이 넥슨에 팔린 과정도 포함됐다. 처치 곤란이던 우 전 수석 처가 부동산을 넥슨이 비싼 값을 치르고 사들였고, 이 과정에 진경준(49·구속기소) 전 검사장이 개입했다는 것이 의혹의 골자였다.
특수팀은 거래과정이 정상으로 보인다는 의견을 수사 기간 중 밝혔다.
윤 팀장은 “수사 상황을 설명하면서 그런 이야기가 나갔는데 우리가 그걸 확정적으로 결정한 게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특수팀은 우 전 수석의 수사기록 일부를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넘겼다. 특검팀은 기록을 검토한 뒤 수사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뉴시스
우병우·이석수 특별수사팀, 성과없이 4개월만에 해산
입력 2016-12-26 15:45